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679.4
도서 판소리의 역사
  • ㆍ저자사항 정병헌 지음
  • ㆍ발행사항 파주: 태학사, 2023
  • ㆍ형태사항 679p.; 23cm
  • ㆍISBN 9791168102101
  • ㆍ주제어/키워드 판소리 판소리사 전통음악 전통예술
  • ㆍ소장기관 강화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KM0000072921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강화]종합자료실
679.4-정44판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
예약 예약불가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KM0000072921 [강화]종합자료실
679.4-정44판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한국 전통예술의 꽃, 판소리 처음으로 쓰여진 400년간의 역사 기록 17세기부터 현재까지의 판소리를 여섯 시기로 서술하고 관련 예인 201명을 소개하고, 창극, 마당극, 북한의 가극까지 다뤄 반세기 가까이 판소리를 연구해 온 정병헌 전 숙명여대 교수가 17세기부터 현재까지 약 400년간의 판소리 역사를 한 권의 책에 담았다. 지금까지 『조선창극사』나 『판소리 이백년사』 같은 책은 있었지만 ‘통사’로서 갖추어야 할 제반 요건을 갖춘 ‘판소리사(史)’는 이 책이 처음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모두 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 ‘판소리의 역사 들어가기’에서는 판소리의 범위와 구성, 기원과 시대 구분 등 판소리의 역사를 기술하기 위한 기본 전제를 정리했다. 이 장에서 저자가 특히 염두에 둔 것은 ‘판소리는 살아 숨 쉬는 존재’라는 점이다. 판소리의 형성 시기를 똑 부러지는 특정의 시대로 설정하지 않고 다소 느슨하게 여유를 두고, 시대의 구분이 서로 겹칠 수 있게 한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그리고 2장부터 7장까지 각각 형성 시대, 송흥록의 시대, 성장과 지속의 시대, 변화와 모색의 시대, 전승과 보존의 시대, 우리 시대로 구분했다. 각 시대에 관한 기술은 시대 개관, 그 시대를 특징짓게 한 역사적 사실, 그 시대에 활동한 연창자와 고수에 대한 설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저자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역사 기술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은 모든 생명체가 그러하듯이 판소리라는 예술형태가 긴 흐름 속에서 형성, 전개되었다고 보았기 때문”이라고 하면서, “마찬가지로 특정 시대를 규정한 역사적 사실은 그 시대로 국한되지 않고, 그 이후의 시대에도 지속하여 나타나기 마련이다. 이런 경우 뒤의 시대에 일어난 일까지 포함하여 서술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창극이 시작된 ‘변화와 모색의 시대’에서, 다음 시대의 창극까지 함께 언급한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엄밀한 의미에서 판소리계소설이나 창극, 마당극, 북한의 가극 등은 판소리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것들은 판소리를 기반으로 하여 만들어졌지만, 이미 장르를 달리한 예술형태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저자는, “판소리를 설명함에 있어, 이 장르를 같이 언급하는 것이 여러 면에서 유용하다고 생각하”여 이에 대한 설명도 수록했다. 저자는 “판소리계소설은 지향이나 의식에 있어 판소리와 공통의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창극이나 마당극을 만들고 키워간 집단은 끊임없이 판소리 연창자들로부터 배출되고 있”고, “북한의 민족가극이나 혁명가극 형성에 있어서도 이들의 역할은 심대하였다.”고 하면서, 이러한 역사적 기여의 흔적을 남기기 위해서라도 이들을 판소리의 역사에서 언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 것이다. 한편, 판소리의 역사는 연창자, 고수와 후원자 그리고 이를 향유하는 청중들이 만든 문화이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연구가 역사의 중심을 이루어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저자는 이 책에 조선 인조~효종 연간에 활동한 예인 박남(朴男)부터 1959년생 고수 박근영(朴根永)까지, 각 시기의 명창, 고수, 후원자들 201명을 소개하고 있는데, 이는 판소리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판소리는 과거 어느 한 지점에서 멈춘 것이 아니라 현재에도 땅 밑을 흐르고 있고, 또 미래에는 도도한 물결을 이루어 나갈 것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한 시대의 가장 예리한 문제를 포착하여 예술화했던 판소리는 그 당시의 것으로 만족하는 예술이라는 점이다. 판소리가 제기하는 문제의식은 지금도 소중하게 다루어지는 보편적인 과제이지만, 판소리라는 형태로 드러낸 것은 그 시대 최선의 선택일 뿐 지금도 통용되는 것은 아니다. 판소리라는 새로운 예술 형태를 만들어낸 것처럼 새로운 예술 형태를 만들 수 있는 기본 질료로서의 자격을 가지고 있는 것이 지금 우리 앞에 있는 판소리이다. 판소리가 소중하게 지켜야 할 우리의 전통예술인 것은 바로 미래의 예술을 나타나게 하는 마중물이요, 불씨이기 때문인 것이다.” - 「판소리의 역사를 위하여」 중에서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