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420.71
도서 단위를 알면 과학이 보인다 : 과학의 핵심 단위와 일곱 가지 정의 상수
  • ㆍ저자사항 곽영직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세로북스, 2023
  • ㆍ형태사항 368p.: 삽화; 20cm
  • ㆍ일반노트 색인 수록
  • ㆍISBN 9791197909443
  • ㆍ주제어/키워드 단위 물리 과학 도량
  • ㆍ소장기관 강화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KM0000072057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스마트도서관2[문예회관]
스마트2420.71-곽64단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
예약 예약불가
상호대차 신청불가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KM0000072057 스마트도서관2[문예회관]
스마트2420.71-곽64단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불가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2018년 킬로그램 원기 폐기, 국제단위계 전면 개정! 2019년 5월부터 시행! 새로운 국제단위계를 반영한 단위 사전이 비로소 출간되었다. 단위는 과학의 시작과 끝, 단위를 알면 과학이 보인다! 현대 사회의 주요 현안인 방사능, 에너지, 기후를 이해하는 데도 단위는 필수! 2018년 말에 국제도량형총회는 킬로그램원기를 폐기하고 자연에 존재하는 7가지 정의 상수를 기준으로 국제단위계를 전면 개정했다. 이 책은 새로운 국제단위계를 바탕으로 주요 단위와 상수를 상세히 설명한 단위 사전이다. 빛의 속도, 기본 전하, 플랑크 상수 등 국제단위계의 기준이 된 7가지 정의 상수와 이들 상수로 정의되는 초, 미터, 킬로그램 등 7가지 기본단위, 그리고 뉴턴(N), 줄(J), 와트(W), 테슬라(T) 등 과학자의 이름을 따라 명명된 중요한 유도단위 20개를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방사선을 처음 발견한 앙리 베크렐의 이름을 딴 베크렐(Bq), 인체에 흡수되는 방사선의 유해성을 연구한 스웨덴의 물리학자 롤프 막시밀리안 시베르트의 영어식 이름을 딴 시버트(Sv) 등 뉴스에서 자주 접하는 방사능 관련 단위도 들어 있다. 단위의 정의와 쓰임뿐 아니라 힘, 일률, 전압, 자기장 등 단위로 표현되는 물리량의 개념과 과학 이론을 함께 설명하고 있어 단위를 보다 정확하고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 고대의 단위부터 시작해서 현대적 단위 체계를 발전시켜 온 과정과 단위에 이름을 남긴 과학자의 이야기까지 아우르고 있어, 단위를 통해 과학의 역사를 살피는 과학 교양서로도 손색이 없다. 개정된 국제단위계의 내용과 그 의미도 잘 정리되어 있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단위를 알면 과학이 보인다 - 곽영직 지음
2018년 말에 국제도량형총회는 킬로그램원기를 폐기하고 자연에 존재하는 7가지 정의 상수를 기준으로 국제단위계를 전면 개정했다. 이 책은 새로운 국제단위계를 바탕으로 주요 단위와 상수를 상세히 설명한 단위 사전이다.

목차

머리말 5
[서론] 단위 체계
1. 고대의 단위들 12
2. 현대적 단위 체계의 발전 과정 28

1장. 과학자는 죽어서 단위를 남긴다_과학의 기초, 이름 있는 단위들
N 뉴턴: 힘의 단위와 아이작 뉴턴 42
Pa 파스칼: 압력의 단위와 블레즈 파스칼 64
J 줄: 에너지의 단위와 제임스 줄 82
W 와트: 일률의 단위와 제임스 와트 100
A 암페어: 전류의 단위와 앙드레 마리 앙페르 112
C 쿨롱: 전하의 단위와 샤를 오귀스탱 드 쿨롱 130
V 볼트: 전압의 단위와 알레산드로 볼타 142
Ω 옴: 저항의 단위와 게오르크 시몬 옴 156
F 패럿: 전기용량의 단위와 마이클 패러데이 168
H 헨리: 유도 계수의 단위와 조지프 헨리 184
T 테슬라: 자기장의 단위와 니콜라 테슬라 194
Hz 헤르츠: 진동수의 단위와 하인리히 헤르츠 212
℃ ℉ K 셀시우스·파렌하이트·켈빈: 온도의 단위와 안데르스 셀시우스, 다니엘 파렌하이트, 윌리엄 톰슨 226
Bq Gy Sv 베크렐·그레이·시버트: 방사능 관련 단위와 앙리 베크렐, 루이스 헤럴드 그레이, 롤프 막시밀리안 시베르트 252

2장. 자연 속 상수를 찾아서_국제단위계의 기준, 일곱 가지 정의 상수
Δν 세슘-133 초미세 전이 진동수와 원자시계 278
c 빛의 속력과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288
h 플랑크 상수와 막스 플랑크 304
e 기본 전하와 조지프 존 톰슨 314
k 볼츠만 상수와 루트비히 볼츠만 324
N 아보가드로수와 아메데오 아보가드로 332
K 시감효능과 빛의 밝기 342

[부록] 국제단위계(SI) 351
찾아보기 362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