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814.6
도서 옛 시가 있는 에세이
  • ㆍ저자사항 정진권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범우사, 2003
  • ㆍ형태사항 279 p.; 21 cm
  • ㆍ총서사항 사르비아 총서; 409
  • ㆍISBN 8908033041
  • ㆍ주제어/키워드 옛시 에세이 한국문학 고시 산문
  • ㆍ소장기관 강화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KM0000032729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강화]종합자료실
814.6-정79옛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
예약 예약불가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KM0000032729 [강화]종합자료실
814.6-정79옛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우리 옛시 한 편씩을 소재로 하여 쓴 수필들을 모아 엮었다. 저자의 <한시(漢詩)가 있는 에세이>와 자매편을 이루는 수필집으로 한시를 제외한 향가, 가요, 송시, 시조, 가사, 민요 등 우리 옛시의 전 분야를 망라하였다. 한시와 마찬가지로 우리 문화 유산인 옛시를 통하여 오늘의 나와 내 이웃과 내 나라 등...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옛 시가 있는 에세이 - 정진권 지음

목차

이 책을 읽는 분에게

향가 鄕歌

어여쁘신 공주님/薯童, 薯童謠
자줏빛 바위 가에/失名老人, 獻花歌
생사로(生死路) 예 있음에/月明, 祭亡妹歌
흰 구름 흐르는 곳/忠談, 讚耆婆郞歌
무릎을 곧추며/希明, 禱千手觀音歌
마음의 붓으로 그리사온/均如, 禮敬諸佛歌

가요 歌謠

달하, 높이곰 돋으시어/行商人妻, 井邑詞
내 님을 그리사와/鄭敍, 鄭瓜亭
삭삭기 세모래 별에/鄭石歌
대동강(大同江) 아즐가/西京別曲
살어리 살어리랏다/靑山別曲
호미도 날이언마라난/思母曲
가시리 가시리잇고/가시리
들긔둥 방아나 찧어/相杵歌

송시 頌詩

뿌리 깊은 나무는/世宗朝諸儒, 龍飛御天歌
외외(巍巍) 석가불(釋迦佛)/世宗, 月印千江之曲
사해(四海) 바다 깊이는/尙震, 感君恩

시조 時調

일 심어 느즛 피니/成汝完
백설(白雪)이 잦아진 골에/李穡
이몸이 죽어 죽어/鄭夢周, 丹心歌
구름이 무심(無心)탄 말이/李存吾
한송정(寒松亭) 달 밝은 밤에/紅粧
대추 볼 붉은 골에/黃喜
수양산(首陽山) 바라보며/成三問
천만 리 머나 먼 길에/王邦衍
있으렴, 부디 갈다/成宗
추강(秋江)에 밤이 드니/李箱
삿갓에 도롱이 입고/金宏弼
늙었다 물러가자/宋純, 致仕歌
동짓달 기나 긴 밤을/黃眞伊
연하(煙霞)로 집을 삼고/李滉, 陶山十二曲
삼동(三冬)에 베옷 입고/曺植
성현(聖賢)의 가신 길이/權好文, 閑居十八曲
보거든 슬미거나/高敬命
일곡(一曲)은 어디메오/李珥, 高山九曲歌
재너머 성 권농(成勸農) 집에/鄭澈
짚방석 내지 마라/韓濩

지당(池塘)에 비 뿌리고/趙憲
한산(閑山)섬 달 밝은 밤에/李舜臣
북천(北天)이 맑다커늘/林悌
묏버들 가려 꺾어/洪娘
동리(東籬)에 국화 피니/申啓榮, 田園四時歌
말하면 잡류(雜類)라 하고/金尙容
반중(盤中) 조홍(早紅) 감이/朴仁老
풍파(風波)에 놀란 사공(沙工)/張晩
가노라 삼각산(三角山)아/金尙憲
이화우(梨花雨) 흩날릴 제/李梅窓

나무도 아닌 것이/尹善道, 五友歌
가을에 곡식 보니/李徽逸, 田家八曲
청석령(靑石領) 지나거냐/鳳林大君
바람에 휘었노라/麟坪大君
동창(東窓)이 밝았느냐/南九萬
감장새 작다 하고/李澤
글도 병(病)된 일 많고/金壽長
강호(江湖)에 노는 고기/李鼎輔
기러기 다 날아가고/趙明履
금준(金樽)에 가득한 술을/鄭斗卿

잘 가노라 닫지 말며/金天澤
옥분(玉盆)에 심은 매화(梅花)/金聖器
땀은 듣는 대로 듣고/魏伯珪, 農歌九章
꿈에 왔던 님이/朴孝寬
어리고 성긴 가지/安玟英, 詠梅
솔이 솔이라 하니/松伊
베잠방이 호미 메고/申喜文
주공(周公)도 성인(聖人)이샷다
해 져 황혼이 되면
춘풍(春風)에 떨어진 매화

천세(千歲)를 누리소서
어이러뇨, 어이러뇨
시어머니, 며늘아기 나빠
대천(大川) 바다 한가운데
나무도 바이 돌도 없는 메에
부러진 활, 꺾어진 창

가사 歌辭

엊그제 겨울 지나/丁克仁, 賞春曲
동풍(東風)이 건듯 불어/鄭澈, 思美人曲
석일(昔日) 주중(舟中)에는/朴仁老, 船上歎
술 빚고 떡 하여라/丁學游, 農家月令歌
다 핀 꽃을 캐어다가/鳳仙花歌
어떤 처녀 팔자 좋아/老處女歌

민요 民謠

처녀총각 노래/大邱地方
밀양(密陽) 아리랑/密陽地方
시집살이 요(謠)/永同地方
모심는 노래/陰城地方
베틀노래/靑陽地方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