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070.4
도서 속의 언론, 공공저널리즘
  • ㆍ저자사항 안병길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 ㆍ형태사항 281p.: 삽도; 23cm
  • ㆍISBN 8984991430
  • ㆍ주제어/키워드 시민 언론 공공저널리즘
  • ㆍ소장기관 강화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KM0000028118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강화]보존자료실
070.4-안44시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
예약 예약불가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KM0000028118 [강화]보존자료실
070.4-안44시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공공저널리즘(Public Journalism)은 한마디로 ‘시민 속으로 파고드는 시민저널리즘’이다. 시민, 즉 독자와 함께 호흡하고 대화하며, 쌍방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지역 이슈를 해결해 나가는 ‘공동체 언론’이 공공저널리즘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의 제목을 ?시민 속의 언론, 공공저널리즘?이라고 붙였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시민 속의 언론, 공공저널리즘 - 안병길 지음

목차

제1부. 공공저널리즘의 이해

제1장. 공공저널리즘이란 무엇인가?
1. 공공저널리즘의 개념
2. 공공저널리즘의 저널리즘적 특징
3. 공공저널리즘과 구별되는 것들

제2장. 공공저널리즘의 역사
1. 언론의 이중 위기와 공공저널리즘의 태동
2. 미국 공공저널리즘의 현황

제3장. 공공저널리즘의 이론 배경과 논쟁
1. ‘공중’에 관한 리프만과 듀우이의 논쟁
2. ‘공론 영역’ 논의의 부활
3. 여론 연구의 활성화
4. ‘인간주의’ 언론관
5. 공공저널리즘에 대한 비판

제4장. 공공저널리즘에 대한 평가와 미래
1. 공공저널리즘의 효과 평가
2. 인터넷과 공공저널리즘
3. 새로운 정보 공공 영역 실험

제2부. 공공저널리즘의 선택

제5장. 공공저널리즘의 한국 적용 가능성
1. 한국 언론에 공공저널리즘이 왜 필요한가
2. 한국 적용에 있어서 유념할 점
3. 한국 적용의 선결 과제
4. 한국 적용 가능 분야

제6장. 공공저널리즘 프로젝트 구성 방법론
1. 사전 준비 작업
2. 이슈 조사 및 선정하기
3. 문제 해결을 위한 이슈 토론 전략
4. 다매체 시너지 효과

제7장. 공공저널리즘에서의 취재 보도론
1. 취재원의 변화
2. 공공저널리즘에서의 취재 요령
3. 공공저널리즘에서의 글쓰기
4. 공공저널리즘에서의 편집
5. 취재 및 제작 시스템의 혁신

제8장. 공공저널리즘 프로젝트 실무 사례
1. 신문 주도 프로젝트
2. 방송과 공공저널리즘
3. 시민 기반 선거 보도

참고문헌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