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220.911
도서 불교 부적의 연구
  • ㆍ저자사항 정각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불광, 2024
  • ㆍ형태사항 495p.: 삽화; 23cm
  • ㆍISBN 9791193454817
  • ㆍ주제어/키워드 불교 부적 원류 한국
  • ㆍ소장기관 강화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KM0000073372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강화]종합자료실
220.911-정12불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
예약 예약불가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KM0000073372 [강화]종합자료실
220.911-정12불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옛사람들의 소박한 염원이 담긴 불교 부적의 원류, 그리고 우리 불교 부적의 역사와 의미를 좇는 거대한 여정! 많은 이들은 ‘부적’을 불교의 정법(正法)과 무관한 것으로 여긴다. 나아가 미신 혹은 민간신앙의 산물로만 인식한다. 하지만 불복장(佛腹藏) 등에서 출토된 고려ㆍ조선시대 다라니를 살펴보면 다양한 형태의 부적이 실려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학계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도 제기되어 왔다. 이 책은 그동안 외면되어 온 불교 부적의 원류를 좇고, 한국불교 전통 부적의 역사와 그 의미에 대해 분석한다. 특히 저자 정각 스님은 중국 당나라 이래 우리나라에 전래된 불교 부적의 역사를 살핌에 있어 돈황 자료를 비롯, 대장경에 실린 불교 부적과 함께 현존하는 고려ㆍ조선시대 불교 부적까지 광대한 여정을 펼친다. 그리하여 200여 컷의 도판 자료와 함께 옛 조상들의 소박한 염원을 담은 소중한 문화유산으로서 우리 불교 전통 부적의 이해를 돕는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불교 부적의 연구 - 정각 지음
그동안 외면되어 온 불교 부적의 원류를 좇고, 한국불교 전통 부적의 역사와 그 의미에 대해 분석한다. 특히 저자 정각 스님은 중국 당나라 이래 우리나라에 전래된 불교 부적의 역사를 살핌에 있어 돈황 자료를 비롯, 대장경에 실린 불교 부적과 함께 현존하는 고려·조선시대 불교 부적까지 광대한 여정을 펼친다.

목차

출판에 부쳐
저자의 말

I. 서언
하늘[天]이 건넨 부인(符印)
부(符)의 사용과 기록
부(符)의 초기 집성과 연구
기존 불교 부적의 연구
서구에서의 불교 부적 연구
일본과 중국에서의 불교 부적 연구
한국에서의 불교 부적 연구
기존 연구의 미흡함과 새로운 연구
기존 연구의 미비점
본 연구의 내용
연구에 앞선 전제
향후의 과제

II. 불교 부적(符籍)의 연원과 전개
- 돈황 사본에 실린 불교 부적을 중심으로

1. 『오명론』과 『용수오명론』
1) 인도 『오명론』의 중국 전래
2) 『용수오명론』과 부적의 실체
2. 돈황 사본에 전하는 불교 부적
1) 「여의륜왕마니발타별행법인」과 「금강동자수심주」
2) 「불설칠천불신부경」
3) 『불설상구리독녀다라니주경』과 기타 부적
3. 돈황 사본 이외의 불교 부적
1) 교하성 출토 위구르어 문서
2) 서하(西夏) 경전과 부적
3) 북송(北宋) 경전과 오대(五代) 유물에 실린 부적

Ⅲ. 대장경 소재 부적의 내용과 의미
- 《대정신수대장경》 중 부적 수록 문헌을 중심으로

1. 《대정신수대장경》 정장(正藏)에 실린 불교 부적
1) 식재법(息災法)에 따른 불교 부적
2) 말세 중생을 위한 증익법(增益法)
3) 도교 부적을 차용한 불교 부적
2. 《대정신수대장경》 도상부에 실린 불교 부적
1) 팔괘(八卦) 부적
2) 십이지(十二支) 및 십이궁(十二宮) 관련 부적

Ⅳ. 한국의 불교 부적
1. 고려 후기 불교 부적의 전개
1) 현존하는 고려시대 불교 부적
2) 고려 후기, 불교 부적의 수합과 통합 현상
3) 고려시대 불교 부적의 변화 과정 분석
2. 조선시대 불교 부적의 연원과 전개
1) 고려시대 부적의 조선 초기 수용
2) 「진언집목(眞言集目)」과 부적 종류의 다양화
3. 조선시대 불교 부적의 확산과 다양화
1) 도교 부적의 유입
2) 『예적금강금백변법경』과 돈황 부적의 재도입
3) 신앙 및 의식 용도에 따른 다양한 부적
4) 민속신앙 부적의 불교 유입
4. 일제강점기 및 근현대 불교 부적의 양상
1) 일제강점기 - 조선시대 부적의 수용과 변용
2) 근현대 불교 부적의 유통과 현황

Ⅴ. 불인과 탑인(塔印)의 한국 수용과 전개
1. 불인(佛印)과 탑인(塔印)
1) 인(印), 불인(佛印)의 개념 변천
2) 불인 - 부처님 현존의 증표
3) 불인과 탑인(塔印) - 공덕과 감응
4) 불인과 종자(種字) - 종자의 불인화(佛印化)
2. 불인과 탑인의 한국 수용과 전개
1) 불인(佛印)과 탑인(塔印)의 한국적 수용
2) 고려시대 다라니와 『범서총지집』에 보이는 2종의 불인
3) 조선 전기 다라니에 보이는 2종 불인과 탑인
3. 불인(佛印)의 형성과 인(印)의 다양화
1) 2종 불인 외에 또 다른 형태의 불인
2) 「석가여래화압」과 진언의 불인화(佛印化)를 통한 인(印)의 다양화
3) 사리병인(舍利甁印) - 새로운 인(印)의 형성

참고문헌
도판목록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