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338.6
도서 초고령사회 일본이 사는 법 : 10년 앞선 고령사회 리포트
  • ㆍ저자사항 김웅철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매일경제신문사: 매경출판, 2024
  • ㆍ형태사항 272p.: 삽화; 21cm
  • ㆍISBN 9791164846610
  • ㆍ주제어/키워드 시니어 초고령사회 노인사회 노인문제
  • ㆍ소장기관 지혜의 숲 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FA0000013136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지혜]종합자료실
338.6-김66초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
예약 예약불가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FA0000013136 [지혜]종합자료실
338.6-김66초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대한민국 코앞에 닥친 초고령사회 세상에 없던 ‘문화’와 ‘비즈니스’가 출현한다 세계에서 가장 늙은 나라 일본. 65세 이상 인구가 약 30%에 달했고 그중 75세가 넘는 초고령자들이 절반이 넘는다. 2025년이 되면 우리나라도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된다. 설상가상으로 초저출산까지 겹쳐 국가소멸 위기설까지 들려오는 심각한 상황이다. 일본은 2000년 초부터 고령사회를 맞이하면서 다양한 경험과 시행착오를 겪었고, 그 과정 속에서 고령화에 관한 나름의 노하우와 대처법을 축적했다. 그중에서도 두드러진 특징으로, 고령자를 비롯한 전 세대가 어우러지는 새로운 문화의 출현했고 고령친화적인 고령화 정책과 기술들이 대거 등장 한 점 등은 우리가 눈여겨볼 대목이다. 이 책은 은퇴 및 시니어 트렌드 전문 칼럼니스트인 김웅철 저자가 일본이 초고령사회를 맞이한 때부터 그 현장을 취재하며 분석한 시니어 리포트로서, 초고령사회를 앞둔 우리로 하여금 고령화를 대처하는 일본의 노하우와 지혜를 엿보게 해주는 유용한 참고서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초고령사회 일본이 사는 법 - 김웅철 지음
은퇴 및 시니어 트렌드 전문 칼럼니스트인 김웅철 저자가 일본이 초고령사회를 맞이한 때부터 그 현장을 취재하며 분석한 시니어 리포트로서, 초고령사회를 앞둔 우리로 하여금 고령화를 대처하는 일본의 노하우와 지혜를 엿보게 해주는 유용한 참고서다.

목차

들어가며

1부. 예고된 미래, 초고령사회의 신풍경

● 함께 그리고 천천히
- 스타벅스, 치매와 만나다
치매 가족들의 마을 거점 ‘스타벅스 치매카페’
- AI택시, 고령자의 일상을 바꾸다
버스와 택시의 장점만 딴 ‘주문형 교통’의 등장
- 장 보기, 묘지 청소, 산보 동행, 취미 상대까지
진화하는 가사 대행 서비스
- 편의점의 슬로 계산대
‘느긋하게 천천히’는 초고령사회 핵심 키워드
- 일본에는 ‘손자의 날’이 있다
초등생 입학 선물은 조부모 몫
- 반려견도 고령화
반려동물 요양원, 방문 요양 서비스의 등장

● 초고령사회 신풍경
- 일본 열도를 놀라게 한
‘45세 정년제’
- “소득 많아도 연금 안 깎습니다”
은퇴자 ‘연금 감액제’ 폐지
- 40년 만의 대전환
달라진 일본의 상속
- 고령 직원 산재 막는다
고령 근로자 매뉴얼 만드는 일본
- 치매 머니를 보호하라
‘돈의 간병’까지 신경 쓴다
- 중장년 히키코모리 61만 명
부모 사후의 ‘서바이벌 플랜’은?
- 오타쿠가 늙었습니다
“내 보물들을 어찌하오리까?”
- “내 유산을 기부합니다”
홀로 고령자의 새로운 종활 트렌드 ‘유증’

2부. 유쾌한 시니어가 온다

● 액티브 시니어가 사는 법
- 일본에는 재학생 평균연령 62세인
대학이 있다?!
- 또 한 번의 초등학교
폐교 위에 세워진 어른들의 학교
- ‘스마트 시니어’의 전국 네트워크
멜로 구락부
- 지금이 나의 전성기
시부야로 화려하게 귀환하는 시니어들
- “재취업 싫다”
도쿄 심장부에 자리 잡은 시니어 ‘앙트러 살롱’
- 능력 있는 7080을 잡아라!
스페셜리스트로 활약, 현역 준하는 처우
- 일본판 웰다잉 ‘종활’에 빠진 시니어들
지자체의 주민 엔딩 서포트 사업 확산

● 신고령 세대의 키워드
- ‘신세대 고령자’의 등장
No 은퇴, No 의존, No 무리
- 시니어 시장을 주도하는
중장년 여성의 3대 마케팅 키워드
- 일본 시니어들이 준비하는
제2의 직업들
- 젊은 층과 중장년층이 바라보는 미래
이렇게 다르다

3부. 간병의 품격

● 진화하는 일본 요양원
- 요양원에서 일하면서 건강도 지킨다
‘일과 함께하는 고령자 건강수명’ 프로젝트
- 마나하우스의 남다른 구강 케어 열정
오연성 폐렴 제로 프로젝트
- 초등학생으로 돌아간
데이케어센터의 할머니 할아버지
- 간병의 품격 높여주는
‘배설 케어’의 진화
- 일본에는
기저귀 없는 요양원이 있다?
- 마을 전체가 하나의 병원이 되다
일본 시골 마을의 ‘커뮤니티 케어’ 도전기
- 병원과 요양원이 하나로
의료·간병 복합체 ‘간병 의료원’
- 19번째 전문의
‘종합 진료의’가 탄생한 이유

● 치매 없는 치매 대국
- 버스가 오지 않는 버스정류장
치매 고령자를 위한 ‘착한 거짓말’
- 치매 이어 ‘배회’ 용어도 없앤다
용어가 낳은 부정적 인식부터 바꾸는 일본
- 지자체가 치매 보험 들어줍니다
치매 친화적 마을의 진화
- “6년간 치매 발병률을 6% 낮추겠다“
치매 예방 목표까지 내세운 일본, 과연?

4부. 시니어 비즈니스 본 막이 오르다

● 역발상과 현장 속에서 창출되는 뉴 마켓
- 빈집 문제 해결사가 나타났다
다거점 생활 플랫폼 ‘어드레스’
- MZ 세대와 짝꿍 된 시니어
“100세 시대 두렵지 않아요”
- “1인 고령 가구를 잡아라”
일본 편의점의 ‘시니어 격전’
- 도시락 배달 서비스해주는
신탁 상품의 등장
- 의료와 피트니스의 뜨거운 만남
‘메디컬 피트니스’
- 차에 탄 채로 처방약 받는다
‘드라이브 스루 약국’
- 의사들이 만드는
디지털 헬스 벤처
- 성인 기저귀를 땔감으로 만드는 일본 중소기업
‘SFD 시스템’의 역발상

인터뷰 1. 인터뷰 1 일본 은퇴전문가 오에 히데키 대표
- 부자로 은퇴하는 직장인의 세 가지 조건
- 은퇴 후 일상을 바꾸는 마법의 한마디

인터뷰 2. 인터뷰 2 일본 고령사회 소설가 가키야 미우
- 퇴직하면 다 똑같은 처지, 사람됨으로 승부해야 한다
- 은퇴 남편 뒤치다꺼리하기를 좋아하는 아내는 없다
- 품격 있는 노후를 위해 필요한 것은 종활이다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