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334.9
도서 외로움의 습격 : 모두, 홀로 남겨질 것이다
  • ㆍ저자사항 김만권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혜다, 2023
  • ㆍ형태사항 352 p.: 삽화; 21 cm
  • ㆍISBN 9791191183276
  • ㆍ주제어/키워드 사회문제 외로움 철학 현대사회
  • ㆍ소장기관 길상작은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GM0000016189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길상]작은도서관
334.9-김32외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
예약 예약불가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GM0000016189 [길상]작은도서관
334.9-김32외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가난/ 디지털 기술/ 능력주의는 어떻게 외로운 시대를 만들어 가고 있는가? 외로움은 어떻게 개인을 넘어 사회까지 무너뜨리는가? 대한민국 안에서는 누가, 어떻게, 얼마나 외로운가? 인류는 어떻게 외로움에 맞서 싸울 것인가? 2018년 1월, 영국에서 세계 최초로 외로움부 장관이 탄생했다. 놀랄 일도 아니다. 영국에서 발표된 〈외로움과 맞서 싸우기〉라는 보고서를 보면, 수많은 이들이 외로움에 ‘자주 혹은 항상’ 시달리고 있으며, 노인들 중 압도적인 수가 TV가 가장 소중한 친구라고 답했다는 내용이 나온다. 사람들이 고립되고 공동체가 단절된 상황이 영국 경제에 미치는 비용은 대략 5조 2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외로움이 단지 개인의 정서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는 걸 시사해 주는 지점이다. 외로움은 영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일본의 노인들은 외로움과 생계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스스로 감옥에 들어간다. 한국 또한 가장 외로운 국가 중 하나다. 인구의 26%가 상시적 외로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20대의 경우엔 그 수치가 40%까지 치솟는다. 지금 세계엔 그 어느 때보다도 많은 인구가 살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 문만 열면 바로 다른 이의 존재를 발견할 수 있는 도시에 머물고 있다. 심지어 놀라운 기술의 발전 덕에 모두가 연결된 ‘초연결 사회’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많은 이들이 외로움에 시달리고 있다. 영국에 이어 일본에서도 ‘고독부 장관’을 임명했다고 한다. 그래서일까? 정치경제학자 노리나 허츠는 21세기를 ‘외로운 세기the lonely century’라 이름 붙였다. 외롭거나 외로워지고 있는 사람들의 사정을 일일이 알아낼 순 없다. 하지만 사람들이 외로워지는 이유와 과정에 대해 철학적으로, 사회·정치적으로 접근해 보는 건 가능하다. 사람들이 그 어느 때보다 외로움을 많이 느끼고 있다면, 분명 우리를 이렇게 만든 21세기만의 조건이 존재할 것이다. 그것이 무엇인지 밝혀내는 일이야말로 철학이 할 일이라고, 저자는 생각한다. 첫 장은 역사적, 철학적 맥락에서 외로움을 살펴보는 것으로 시작된다. 영어권에서는 16세기까지 외롭다는 단어가 없었으며, 이 감정은 이후 사회의 변화와 함께 찾아온 새로운 것이었다. 결국 이 시대 사람들을 더욱더 외롭게 만드는 원인은 가난, 디지털 기술, 데이터가 지닌 편향성, 능력주의 등이라고 저자는 지적한다. 이에 더해 외로움으로 뒤덮인 세상이 얼마나 위험한지 구체적인 사례와 통계들을 짚어 가며 하나하나 설명한다. 그리고 이야기의 마지막엔 어떤 식으로 외로움에 맞설 것인지, 조금은 서투르더라도 함께 그 대안을 상상해 보자고 제안한다. 저자는 늦은 나이에 어린 생명을 이 세상에 오게 한 아빠로서, 그 아이가 더는 외로운 세상에서 살아가지 않기를 바라는 간절함으로 이 책을 썼다. 그 여정에 많은 이들이 함께해 주길 바란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외로움의 습격 - 김만권 지음
사람들이 그 어느 때보다 외로움을 많이 느끼고 있다면, 분명 우리를 이렇게 만든 21세기만의 조건이 존재할 것이다. 그것이 무엇인지 밝혀내는 일이야말로 철학이 할 일이라고, 저자는 생각한다.

목차

005 prologue ‘21세기 우리’의 또 다른 이름, ‘외로움’

1장 ‘외로워진다’는 것

022 21세기, 외로움을 만나다
028 외로움이란 무엇인가? : 외로움의 ‘짧은’ 역사
035 왜 외로움이 위험한가?
044 우리는 얼마나 외로울까?
053 20대, 외로운 세기의 가장 외로운 세대

2장 외로움이 ‘디지털’을 만날 때

065 외로움이 ‘디지털’을 만날 때
073 왜 디지털은 분배 격차를 만들어 낼까?① : 경이적인 발전 속도
079 왜 디지털은 분배 격차를 만들어 낼까?② : 네트워크 효과
084 왜 디지털은 분배 격차를 만들어 낼까?③ : 중숙련 일자리 대체와 저숙련 일자리 증가
088 격차를 더 뚜렷하게 만드는 생성형 인공지능
092 데이터가 나에게 말을 걸기 시작했다
108 ‘론리 사피엔스’가 된 디지털 인류를 위한 공동체

3장 데이터가 ‘편견’을 만날 때

119 인간은 정보처리 시스템이다?
124 데이터란 무엇인가?
128 왜 거대한 규모의 데이터는 인간을 필요로 할까?
139 빅데이터는 인간의 노동을 과소평가한다
149 빅데이터도 편견을 가진다
161 빅데이터는 빈곤한 이에게 더 엄격하다
172 빅데이터는 일하는 자에게도 엄격하다
180 빅데이터도 학연, 지연, 성별 등에 연연한다
186 빅데이터는 지구마저 외롭게 만든다
195 인간이 맺는 좋은 관계가 좋은 데이터를 만든다

4장 외로움이 ‘능력주의’를 만날 때

204 ‘능력주의’란 무엇인가?
209 ‘능력’이란 무엇일까?
216 왜 우리는 능력주의에 열광하는가?
221 능력도 상속된다
229 능력주의는 왜 성공한 사람에게도 해로울까?
238 ‘한국의 능력주의’는 뭐가 다를까?
246 능력주의가 ‘고용 신분 사회’를 만든다고?
255 능력주의가 중산층마저 외롭게 만든다고?
260 굴욕의 정치가 만드는 우파 포퓰리즘
268 ‘디지털 능력주의’ 시대,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외로움

5장 외로움의 ‘습격’,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280 사회적 가치 차원의 대응책 : 강박적 자기 책임의 윤리에서 벗어나자
286 사회 문화적 차원의 대응책① : ‘경청’하는 사람들의 공동체를 만들자
292 사회 문화적 차원의 대응책② : 경청을 시민교육의 핵심으로 삼자
297 분배 차원의 대응책 : ‘노동시장’을 통하지 않는 분배 대안
300 노동을 분배 기준으로 삼지 않는 기본소득과 기초자산
305 기초자산을 작동하게 만들기① : ‘생애 주기 자본금’
311 기초자산을 작동하게 만들기② : ‘생애 주기 자본금’의 재원, 배당, 수령 조건, 반환
319 기본소득 작동하게 만들기① : ‘인생 위기·전환 대응 소득’
323 기본소득 작동하게 만들기② : ‘인생 위기·전환 대응 소득’의 재원, 배당, 수령 조건, 반환
330 권리 차원의 대응책 : 디지털 시민권

343 epilogue ‘아빠’라는 몽상가들에게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