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802
도서 (사춘를 위한)문장력 수업
  • ㆍ저자사항 오승현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생각학교, 2024
  • ㆍ형태사항 280p.: 삽화; 21cm
  • ㆍISBN 9791191360974
  • ㆍ이용대상자 청소년용
  • ㆍ주제어/키워드 문장력 글쓰기
  • ㆍ소장기관 강화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TM0000006708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강화]청소년열람실
T802-오57문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
예약 예약불가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TM0000006708 [강화]청소년열람실
T802-오57문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감상문, 수행평가 보고서, 서술형 답안, 자기소개서, SNS… 쓸 일은 많은데 도통 어떻게 쓸지 모르는 사춘기를 위해 나만의 한 끗을 만드는 ‘문장력’ 수업이 온다! 《사춘기를 위한 문장력 수업》은 다양한 상황에 맞게 글을 써야 하는 사춘기를 위해 ‘문장력’이라는 나만의 한 끗을 만드는 비법을 담았다. 청소년들에게 글은 입시를 위한 자기소개서뿐만 아니라, 생활기록부에 특기사항을 채우고, 수행평가를 위해서도 필수적이다. 글은 자기 생각을 명확하게 만들고 타인과 소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생각을 명확히 표현하고 타인에게 내 장점을 드러내려면 문장력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 독자들과 소통하고 중3 국어 교과서에 글을 싣기도 한 오승현 선생님은 알쏭달쏭한 문장력을 이해시키기 위해 그 요소를 4가지로 나눠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는 4교시 수업으로 설명한다. 1교시에서 말하는 ‘짧으면서 쉽게 쓰기’는 내 글을 읽을 독자를 염두에 두며 쓰는 것이다. 2교시에서는 ‘군더더기 없이 간결하게 쓰기’를 말한다. 저자는 ‘의’, ‘것’, ‘-적’처럼 문장에 담긴 잡초들을 제거해보라고 권한다. 3교시에서는 ‘어법과 호응에 맞게’ 쓰자고 이야기한다. 주어와 서술어만 어울리게 써도 문장이 깔끔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교시에서는 ‘자연스럽고 구체적으로 표현하기’를 설명하며 자연스러운 우리말 표현들을 익히게 하고, 글의 표현력을 높이는 법을 알려준다. 마지막 ‘방과 후 수업’ 꼭지에서는 문장력을 완성하는 것이 ‘퇴고’임을 강조한다. 저자가 말하는 퇴고 방법을 하나씩 따라가다 보면 글을 통해 자기 자신을 깊게 파악하는 방법까지 익힐 수 있다. 이 책은 결국 문장력이야말로 전 과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강력한 수단이라고 말한다. 글을 쓰며 생각을 정리하다 보면 수학, 과학을 비롯해 교과목들이 전하려는 의도를 파악하고, 무엇을 배워야 할지 자연스럽게 알게 된다는 것이다. 글쓰기는 자신의 미래를 발견하기 위한 진로 교육에서도 중요하다. 이 책에서 말하는 것처럼 꾸준히 쓰다 보면 세상을 보는 나만의 초점이 더 선명해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사춘기를 위한 문장력 수업 - 오승현 지음
다양한 상황에 맞게 글을 써야 하는 사춘기를 위해 ‘문장력’이라는 나만의 한 끗을 만드는 비법을 담았다. 청소년들에게 글은 입시를 위한 자기소개서뿐만 아니라, 생활기록부에 특기사항을 채우고, 수행평가를 위해서도 필수적이다.

목차

들어가며: 멋진 글을 쓰고 싶니?

오리엔테이션
내 글은 안 읽히는데, 친구 글은 읽히는 비결이 뭘까?
문장력, 노력 없이도 읽히는 힘 / 글 잘 쓰는 거랑 성적이랑 관계있어? / 단 ‘한 문장’에서 시작하자 / 쉽게 쓰는 비결이 있어 / 문장은 생각을 담는 최소 단위 / 독자의 반응을 이끌어 내는 글쓰기 / 진짜 재능은 꾸준함이야
쉬는 시간: 유명한 작가들도 매일 꾸준히 쓴대

1교시-누가 읽는지를 먼저 생각하자: 독자 설정

1장: 너는 모르고 나만 알면 무슨 재미니?

쓰는 건 나지만 읽는 건 누굴까? / 동생에게 들려준다는 마음으로 / 독자의 언어로 소통하자 / 한자어가 많으면 숨이 턱 막혀 / ‘문 닫고 들어와’가 이상한 이유 / ‘야민정음’ 금지 / 100헥타르 vs 축구장 100개 / 글쓴이가 노력할수록 글은 쉬워져
복습 시간: 어려운 한자어를 고쳐 보기
쉬는 시간: <마술피리>가 한때 <마적>이었다고?

2장: 한 문장에 하나의 생각만
주어의 절친인 서술어를 찾자 / 짧게 쭉쭉, 속도감 만들기 / 달걀을 한 바구니에 넣지 마라 / 문장을 어떻게 끊을까? / 엿가락 같은 글쓰기를 보여 주마 / 단어는 토막 내지 말고 합체! / 꼭 단문만 써야 할까? / 단문과 장문으로 리듬을 타자
복습 시간: 글꼬리를 짧게 줄여 보기
쉬는 시간: 문장을 배배 꼬면 읽기 피곤해

2교시-군더더기를 없애자: 문장의 경제성

3장: 같은 말을 두 번 하면 질리기 마련!

왜 간결하게 써야 할까? / 문장도 다이어트가 필요해 / 한 번 쓴 단어는 다시 쓰지 않기 / 꼭꼭 숨어 있는 중복 표현 / 키 작은 난쟁이? 난쟁이로 충분! / 부사는 꼭 강조하고 싶을 때만 / 최고의 목수는 못질을 안 한대
복습 시간: 반복되는 표현을 고쳐 보기
쉬는 시간: 하얀 백지? 백지는 당연히 하얗지!

4장: ‘의’, ‘것’은 문장의 잡초, 잡초는 뽑아야지
밥 먹음의 곳 vs 밥 먹을 곳 / ‘의’는 오늘도 열일 중 / 문장을 지루하게 만드는 ‘것’ / ‘것이다’는 확인·강조·정리할 때만 / 문장의 또 다른 잡초, ‘-적’ / ‘-화’와 ‘-들’도 뽑아내기
복습 시간: ‘의’, ‘것’, ‘-적’에 유의하며 고쳐 보기
쉬는 시간: 군더더기는 침 자국과 비슷해

3교시-문장에는 각각 맞는 자리가 있어: 문장 호응과 맞춤법

5장: 퍼즐 맞추듯 어울리는 짝을 찾자

문장의 기둥, 주어와 서술어가 어울리게 / 축구를 찬다? 축구는 ‘차는’ 게 아니라 ‘하는’ 것! / 목적어가 여럿이라 헷갈린다면? / 부사어와 서술어에도 궁합이 있어 / 부정문·의문문과 짝을 이루는 부사어 / 단어와 구절을 대등하게 나열하기
복습 시간: 문장성분이 어울리도록 고쳐 보기
쉬는 시간: 자세히 보면 호응하지 않는 표현이 많아

6장: 띄어쓰기 하나로 의미가 달라진다면?
가능성이 높다? 많다? 크다? / 맞춤법에 맞게 써야 하는 이유 / 발음과 표기가 비슷해 헷갈릴 때 / 말하는 대로 적으면 안 될 때 / 꽃이 피었다 vs 꽃은 피었다 / ‘부터’, ‘에’, ‘의’도 살펴보자 / 띄어쓰기는 왜 필요할까? / 종종 걸음? 종종걸음? / 의존명사는 어떻게 띄어 쓸까?
복습 시간: 틀린 표현을 고쳐 보기
쉬는 시간: ‘당황’과 ‘황당’의 차이를 아는 사람?

4교시-디테일을 살리면 글이 더욱 멋져지지: 표현력

7장: 우리말을 우리말답게, 자연스럽게 쓰자

우리말은 능동문을 좋아해 / 조련사에 의해 ‘길들여진’ 돌고래? / 책임을 피하려고 쓰는 표현 / 우리말을 마구 잡아먹는 ‘가지다’ / 부사를 살려 구체적으로 쓰기 /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은 ‘감옥에서 사색하다’로 / 일본어 투를 왜 쓰지 말아야 할까? / 문장에도 자연스러운 순서가 있어 / 쉼표를 활용하자
복습 시간: 문장을 더 자연스럽게 고쳐 보기
쉬는 시간: ‘좋은 사람 소개시켜 줘’에서 틀린 표현이 뭘까?

8장: 구체적일수록 문장은 생생해져
‘맛있다’ 대신 ‘입안에서 살살 녹는 달콤함’처럼 / 디테일이 없는 글은 시든 꽃 같아 / 20자 ‘내외’는 정확히 몇 자일까? / 이름을 불러 준다면 / 설명하는 대신 그림 그리듯 묘사하기 / 감정을 어떻게 ‘보여’ 줄까? / 독자를 설득할 무기, 팩트 / 구체적인 것과 TMI는 달라
복습 시간: 막연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고쳐 보기
쉬는 시간: 이렇게도 저렇게도 해석되는 표현이 있다면?

방과 후 수업-‘문장 다듬기’까지 하면 내가 글쓰기 고수: 퇴고
글쓰기 실력을 키우는 최고의 방법은? / 초고에서 절만만 남기자 / 숲도 보고 나무도 보기 / 퇴고의 두 가지 원칙 / 표현·내용·구조 모두 꼼꼼히 / ‘악마의 대변인’을 옆에 두자 / 소리 내서 읽어도 자연스럽다면 합격 / 재능이 없어서 못 쓴다는 핑계는 안녕
복습 시간: 퇴고 체크 리스트

복습 시간 정답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