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734
도서 (우리말 어원의)본어 단어
  • ㆍ저자사항 한창화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좋은땅, 2023
  • ㆍ형태사항 594p.: 삽화; 26cm
  • ㆍISBN 9791138821636
  • ㆍ주제어/키워드 일본어 어휘 외국어 일단어
  • ㆍ소장기관 강화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KM0000072647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강화]청소년열람실
734-한82일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
예약 예약불가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KM0000072647 [강화]청소년열람실
734-한82일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순수한 한국어와 일본어 고유어의 어근은 거의 같다. 일본어는 한국어를 어머니로 해서 태어난 말이다”라는 말이 있다.(아나타는 한국인, 시미즈 기요시·박명미 공저) 우리말과 일본어는 우랄알타이어족으로 같은 어족(語族)에 속한다. 우리말과 일본어의 공통점으로는 어순이 같으며 같은 한자(漢字)를 사용하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그리고 역사적으로 보면 일본 열도와 가장 가까운 한반도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일본으로 건너가서 일본 고대국가를 건설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일본에서는 3세기에서 7세기경에 대륙(한반도, 중국 등)에서 일본에 이주한 사람을 역사적 용어로 도래인(渡来人)이라고 한다. 사람이 이동하면 말을 포함해 문물도 함께 이동하기 마련이다. 우리말과 일본어의 유사성을 찾아내기 위한 조사방법으로 일본 포털사이트에서의 단어의 어원 조사와 일본어 고어사전 및 일본어 어원사전 등을 참고로 했다. 그리고 우리말과 일본어와 유사성이 보이는 단어는 합리적으로 분석했다. 유사성 조사 결과, 특히 우리의 많은 한 음절 말이 일본에 건너가 어원이 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명사, 동사, 형용사는 물론 부사, 의태어, 의성어 등 폭넓게 유사성을 보여 말에 있어서 감정까지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우리말이 어원이 된 생활기초어가 다른 말과 결합하여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점도 알게 되었다. 다시 말해, 일본어에는 우리말이 광범위하게 녹아 들어가 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이번의 개정증보판은 어휘수를 대폭 늘리고(1,300개 훈독단어) 일본어 수준별로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일본어 입문자는 물론 일본 유학을 목표로 하는 사람에 이르기까지 모든 일본어 학습자가 부담없이 공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