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810.906
도서 이어령 읽기 : 인공지능과 생명사상 시대의 명, 화,
  • ㆍ저자사항 김성곤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민음사, 2023
  • ㆍ형태사항 417p.; 19cm
  • ㆍISBN 9788937427176
  • ㆍ주제어/키워드 문학 문학이론 문학비평 평론
  • ㆍ소장기관 강화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KM0000072619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강화]종합자료실
810.906-김54이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
예약 예약불가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KM0000072619 [강화]종합자료실
810.906-김54이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이어령이 세상을 떠나며 남긴 말들에 대한 보고서 『이어령 읽기』가 민음사에서 출간되었다. 『이어령 읽기』는 문학평론가 김성곤이 문학, 문화, 문명, 예술, 인생이라는 주제를 놓고 이어령과 나눈 대화의 기록으로, 이어령 선생이 암 투병 중일 때부터 세상을 떠날 때까지 정기적으로 만나 대화한 내용을 꼼꼼하게 기록하고 정리해 완성한 이어령론이다. 김성곤에게 멘토와도 같았던 이어령은 죽음을 눈앞에 두고도 의연한 태도로 성찰과 혜안이 깃든 비교문화론, 인류문명론, 동서문학론을 펼쳤다. 각 주제에 대한 이어령의 말과 그 말에 대한 김성곤의 의견이 더해지며 완성된 ‘이어령론’이자 ‘이어령이 남긴 말들에 대한 보고서’인 이 책은 넓은 의미의 대화를 지향한다. 이 책을 읽는 누구나가 저자의 자리에 서서 이어령의 말을 독해하고 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길어올릴 수 있다. 평생에 걸쳐 자신의 문학적 유산을 가꿔 온 이어령이 변화와 혼란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전하는 주옥같은 메시지들은 일상이라는 파도에 휩쓸려 본질에 대한 질문을 자주 잊고 사는 우리에게 드물고도 귀한 대화의 희열을 선사할 것이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이어령 읽기 - 김성곤 지음
문학평론가 김성곤이 문학, 문화, 문명, 예술, 인생이라는 주제를 놓고 이어령과 나눈 대화의 기록으로, 이어령 선생이 암 투병 중일 때부터 세상을 떠날 때까지 정기적으로 만나 대화한 내용을 꼼꼼하게 기록하고 정리해 완성한 이어령론이다.

목차

이어령 교수를 떠나보내며 9
서문 23

1부 바람과 물결 사이에서 본 문학, 문명, 문화

문학이란 무엇인가? _이어령 31
문학을 한다는 것의 의미 _김성곤 39
지식인은 누구이며,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_이어령 59
지식인과 작가의 본질과 본분 _김성곤 69
한국은 대륙 문명과 해양 문명의 연결점 _이어령 83
중국과 일본 사이, 중국과 미국 사이에 낀 한국 _김성곤 93
동서 문화의 융합과 퓨전 _이어령 133
동서 문화의 이해와 오역이 초래하는 오해 _김성곤 156

2부 인공지능

인공지능, 디지로그, 생명사상 _이어령 167
인공지능 시대의 전망과 문제점 _김성곤 181
드론의 시점 _이어령 205
드론과 메타버스 시대의 도래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_김성곤 210
현대의 은둔: 정보로부터의 도피 _이어령 213
이름 짓기와 정보 쓰레기, 그리고 탈진실 시대의 도래 _김성곤 220
‘꼬부랑 할머니’의 무한한 가능성 _이어령 226
‘꼬부랑 할머니’와 『아라비안나이트』 _김성곤 231

3부 이성, 자연, 문명

이성주의와 신비주의, 종(鐘)의 의미, 시작과 엔딩, 그릇 _이어령 237
종(鐘)의 상징, 현대의 폐차장, 우리는 모두 무언가를 담는 그릇 _김성곤 247
인간, 문화, 언어, 곤충 _이어령 254
프로메테우스, 에피메테우스, 판도라 _김성곤 274
오리엔탈리즘, 디아스포라,「파친코」와 디아스포라 _김성곤 278
자연과 문명: 「청산별곡」과 「헌화가」 _이어령 310
주자학 유교: 한국인의 과거 지향성과 당파성의 근원 _김성곤 325
과거로 되돌아가기, 귀족문화 _이어령 330
산업자본주의와 비인간화 _김성곤 340

4부 생명사상

생명 사상, 생명자본주의, 기호 _이어령 349
포스트모던 기호학: 기호는 거짓일 수도 있어 _김성곤 357
허먼 멜빌, 고양이 _이어령 363
고양이와 개를 통해 본 한국 문화 _김성곤 367
허먼 멜빌의 『모비 딕』 읽기 _김성곤 373
살만 루슈디의 『광대 샬리마르』 읽기 _김성곤 380
애니그마와 암호 해독 _이어령 384
엔트로피, 열림과 닫힘 _김성곤 393
우주선과 한반도 _이어령 400
트로피로서의 한반도 _김성곤 408

나가면서: 이어령 교수를 기억하며 413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