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435.12
도서 물이라는 세계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TM0000006678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강화]청소년열람실
T435.12-염94물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
예약 예약불가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TM0000006678 [강화]청소년열람실
T435.12-염94물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물의 세계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우리가 몰랐던 물과 환경에 대한 50가지 이야기 물은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물질입니다. 하지만 너무 가까이 있어서 우리는 물의 가치를 알아보지 못하고 함부로 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이라는 세계』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물과 환경에 대한 50가지 지식을 귀여운 그림과 함께 소개하고 있습니다. 누구나 쉽게 읽으면서 우리의 지구, 우리의 강, 우리의 기후를 좀 더 가깝게 느끼고 좋아할 수 있도록 ‘세계의 물’ ‘한국의 물’ ‘도서와 가정의 물’ ‘생태계와 물’ ‘기후위기와 물’이라는 5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저자가 들려주는 이야기와 그림을 따라가다 보면 물이 어떻게 세상과 연결되어 있으며, 왜 기후위기를 진지하게 생각하고 대처해야 하는지 자연스럽게 알 수 있습니다. 이 책을 통해 독자 여러분이 우리 주변의 자연을 돌아보고, 자연과 함께하는 아름다운 미래를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물이라는 세계 - 염형철 지음, 도아마 그림
물은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물질이다. 하지만 너무 가까이 있어서 우리는 물의 가치를 알아보지 못하고 함부로 대하는 경우가 많다. 『물이라는 세계』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물과 환경에 대한 50가지 지식을 귀여운 그림과 함께 소개하고 있다.

목차

들어가며
CHAPTER 1 세계의 물
01 인류가 화성에서 물을 찾는 이유 ○ 02 지구에서 쓸 수 있는 물은 0.007퍼센트 ○ 03 깨끗한 물의 부족 ○ 04 인류의 수명을 크게 늘린 상하수도 ○ 05 유엔이 정한 세계 물의 날 ○ 06 화장실이 없는 사람들 ○ 07 한국의 일상을 채운 세계의 물 ○ 08 세계에서 발생하는 물 분쟁 ○ 09 다국적 물 기업의 탐욕과 실패 ○ 10 자연으로부터 영감을 얻는 물 관리
칼럼 1. 우리는 하나의 물을 쓰는 지구인 공동체
칼럼 2. 가난한 이웃들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것

CHAPTER 2 한국의 물
11 유럽과 한국 강의 차이 ○ 12 한반도의 강은 급하다 ○ 13 한국은 유엔이 정한 물 부족 국가? ○ 14 한국은 물 낭비가 심하다? ○ 15 경제가 발전하면 물을 더 공급해야 할까? ○ 16 한국의 물값은 싸다? ○ 17 지하수를 고갈시키는 수막재배 ○ 18 한국은 해양 국가 ○ 19 한국에서 가장 큰 환경 사건 ○ 20 강은 누구의 것인가?
칼럼 3. 세계의 물과 한국의 물
칼럼 4. 더 많은 물 시설을 세울 것인가?

CHAPTER 3 도시와 가정 물
21 수돗물 없는 세상 ○ 22 지구를 다섯 바퀴나 돌고도 남는 수도관 ○ 23 수돗물을 마셔도 될까? ○ 24 가정에서 물을 가장 많이 쓰는 곳은? ○ 25 생수의 3분의 1은 석유 ○ 26 정수기는 안전할까? ○ 27 맛있는 물을 마시는 법 ○ 28 지하수가 부족한 섬 ○ 29 도시보다 훨씬 비싼 농어촌의 수도요금 ○ 30 우리는 강에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칼럼 5. 수돗물을 믿고 마실 수 있다면
칼럼 6. 우리의 강을 어떡하면 좋을까?

CHAPTER 4 생태계와 물
31 여섯 번째 대멸종의 시대 ○ 32 담수 생태계가 위험하다 ○ 33 수도관처럼 정교하게 조작되는 강 ○ 34 녹조가 보내온 경고 ○ 35 가시박으로 뒤덮인 하천 ○ 36 플라스틱을 먹는 새 ○ 37 고래잡이와 보호의 역사 ○ 38 상류보다 맑은 하류의 물 ○ 39 흰목물떼새가 떠난 하천 ○ 40 여의도 샛강에 나타난 수달
칼럼 7. 여섯 번째 대멸종에 맞서는 노력
칼럼 8. 생태계교란생물을 어떻게 해야 할까?

CHAPTER 5 기후위기와 물
41 유럽의 대홍수 ○ 42 이미 시작된 기후위기 ○ 43 역대 가장 더운 여름 ○ 44 한국의 기후변화 ○ 45 2100년, 조개가 사라진다 ○ 46 점점 가라앉는 한반도 ○ 47 모든 재해는 기후위기 때문일까? ○ 48 기후위기 맞서 더 많이 개발할 것인가? ○ 49 자연을 보호하면 재해를 줄일 수 있을까? ○ 50 기후단체 350
칼럼 9. 툰베리와 한국의 청소년기후행동
칼럼 10. 사람을 미워하면서 지구를 구할 수는 없지 않은가?
나오며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