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001.3
도서 나는 정상가 : 평균에 대한 집착이 낳은 오류와 차별들
  • ㆍ저자사항 사라 채니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와이즈베리, 2023
  • ㆍ형태사항 373p.: 삽화; 23cm
  • ㆍ일반노트 원저자명: Sarah Chaney
  • ㆍISBN 9791168415911
  • ㆍ주제어/키워드 인문학 교양인문학 정상성 평균 오류 차별
  • ㆍ소장기관 강화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KM0000072450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강화]종합자료실
001.3-채198나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
예약 예약불가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KM0000072450 [강화]종합자료실
001.3-채198나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정상은 어떻게 평균에서 벗어나는 사람을 공격하는 무기가 되었는가? ‘평균’이 정상이라는 오해는 언제부터 시작된 것일까? 동성애, 자위, 분노 표출은 원래부터 비정상이었던 걸까? 아이들의 정상적인 행동의 범위는 어디까지일까? 표준화가 우리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 ★ 영국 워터스톤 선정 2022 최고의 대중 과학 서적 ★ 우리는 남과 다른 것을 ‘비정상’이라 여기고 끊임없이 ‘정상적인 것’을 추구한다. 정상적인 신체 사이즈, 정상적인 사고방식, 정상적인 성적 취향, 정상적인 감정 표출 등. 그런데 알고 보면 이러한 ‘정상’이란 말이 생긴 지는 200년밖에 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우리는 왜 이리 정상, 비정상을 나누고 정상에 집착하는 걸까? 정상과 비정상은 대체 누가 결정하는 걸까? 영국의 정신 건강 연구가 사라 채니는 수학에서 비롯된 ‘정규분포’가 어떻게 사회적·문화적 맥락으로서의 ‘정상’이 되었는지 그 흐름을 추적하고, 그 과정에서 정상이란 개념이 어떻게 고착화되었는지를 탐구한다. ‘평균’에 대한 집착은 데이터를 조작해 오류를 낳았고, 잘못된 모집단 설정은 잘못된 대표성을 낳았다. 이를 바탕으로 서구 사회는 식민주의와 인종차별, 성차별을 옹호해왔고, 지금은 ‘위어드(WEIRD)한 사람’을 기준으로 나머지를 평가한다. 이러한 일반화가 과연 정당한 것일까? 이 책은 정상성이란 개념 뒤에 숨은 차별과 억압의 역사를 밝히며, 정상과 비정상에 대한 우리의 기존 관념을 무너뜨린다. 이를 통해 우리는 획일화되고 고착화된 기준에서 벗어나 각자의 개성대로, 열린 마음으로 함께 사는 삶을 지향하는 사고방식을 배우게 될 것이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