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609.11
도서 다시 보기. 1, 1950년대-70년대
  • ㆍ저자사항 김이순 외 엮음
  • ㆍ발행사항 서울: 현실문화, 2022
  • ㆍ형태사항 438p.: 삽화; 24cm
  • ㆍ일반노트 엮은이: 송희경, 신정훈, 정무정 참고문헌: p. 428-438
  • ㆍISBN 9788965642800
  • ㆍ주제어/키워드 한국미술 미술비평 미술
  • ㆍ소장기관 강화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KM0000071165
낱권정보 v.1
자료실 /
청구기호
[강화]종합자료실
609.11-한16현-1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
예약 예약불가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KM0000071165 v.1 [강화]종합자료실
609.11-한16현-1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한국 미술 다시 보기’ 시리즈 1권인 『한국 미술 다시 보기1: 1950년대-70년대』는 해방 이후부터 1970년대까지 한국 현대미술을 관통한 가장 중요한 키워드로 ‘전위’(김이순), ‘추상’(신정훈), ‘전통’(송희경), ‘냉전과 국제교류’(정무정)를 제시하면서, 이러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당시의 한국 미술과 담론이 어떠한 양상으로 표출되고 굴절‧변화했는지를 검토하고 있다. 김이순의 「무엇이 ‘새로운 미술’인가?: 1950-70년대 미술인들의 전위 인식」은 1950~70년대에 미술가들이 가장 선호하던 용어 중의 하나가 전위였던 데서 알 수 있듯이, 당대 미술인들이 전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신정훈은 「1950-70년대 한국 미술에서의 추상」에서 추상이 어떻게 현대, 전통, 전위, 제도, 현실, 냉전, 근대화, 모방, 주체 등과 같은 전후 한국 미술의 핵심적인 문제들과 결부되어 구사되고 논의되었는지 고찰한다. 송희경의 「1950-70년대 동양화단의 ‘전통’」은 시기별로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는 동양화단의 전통 담론을 당대 문헌 해제를 통해 분석한다. 또한 한국전쟁 이후 한국 미술계는 미국 정부와 민간 재단 주도로 이루어진 전후의 다양한 원조와 문화 교류 프로그램의 여파 속에서 유례없이 빈번한 국제 미술 교류에 노출되는데, 정무정의 「‘냉전’과 ‘국제교류’로 읽어보는 1950-70년대 한국 미술」은 이러한 교류 과정에서 한국 미술가들이 전통과 전위의 관계를 어떤 식으로 모색했는지 살펴보고 있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