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180
도서 심리학 필독서 30
  • ㆍ저자사항 사토 다쓰야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센시오, 2022
  • ㆍ형태사항 319p.: 삽화; 20cm
  • ㆍ일반노트 원저자명: 佐藤達哉
  • ㆍISBN 9791166570551
  • ㆍ주제어/키워드 세계 심리학 필독서 30 프로이트 스키너
  • ㆍ소장기관 지혜의 숲 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FA0000011175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지혜]종합자료실
180-사885세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
예약 예약불가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FA0000011175 [지혜]종합자료실
180-사885세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전 세계 심리학 명저 30권을 한 권에 전 세계 심리학 명저 30권을 한 권에 담은 책이 출간됐다. 신간 〈세계 심리학 필독서 30〉은 프레데릭 스키너, 지그문트 프로이트, 칼 구스타프 융, 존 카밧진, 에리히 프롬, 대니얼 커너먼 등 이 분야에서 세계적인 명성과 평판을 가진 저자를 엄선해, 한 권당 5분 정도면 읽을 수 있도록 핵심 내용만 쉽게 풀어서 담은 책이다. 수많은 전문가의 검증을 거친 심리학 그루의 생생한 이야기를 한 권당 530원에 읽을 수 있으니 가성비도 최고다. 세상은 나와 타인으로 이루어져 있고 심리학은 인간(Human Being)의 마음을 다루기에 인간과 가장 가까이에 있는 학문이지만 막상 접해보면 복잡하고 심오해 쉽지 않다. 수많은 책 중에 어떤 책을 읽어야 할지 판단하기도 어렵고 수십 권씩 읽을 시간도 없다. 이런 현실적 문제를 해결해 주는 책이 바로 〈세계 심리학 필독서 30〉 이다. 수많은 저자의 책 중에서 분명한 기준으로 필독서 30권을 엄선해 한 권으로 정리했기 때문이다. 여기 소개된 책들은 심리학의 여러 분야에서 지대한 영향을 끼친 책들이다. 인생의 의미를 깨닫게 해주는 심리학 분야 최고 명저로 꼽히는 책에서부터, 현대 심리학의 95%를 제공했다 평가받는 심리학자의 책, 심리학의 비타민이라 불리는 책, 스트레스, 성격, 인간의 욕망 등 각 분야에서 최고라 평가받는 책들이다. 책 한 권으로 이들의 지혜를 한 곳에서 만날 수 있으니 이만한 가성비도 찾기 쉽지 않다. 어디부터 읽어도 상관없다. 흥미가 느껴지는 부분부터 읽으면 된다. 좀 더 알고 싶으면 각 저자의 원저를 찾아 읽으면 된다. 이 책 한 권이면 고전부터 최신까지 심리학의 전개도를 한눈에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심리학을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는 사람에게 방향을 설정하는 데 분명한 도움이 될 것이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세계 심리학 필독서 30 - 사토 다쓰야 지음, 박재영 옮김
프레데릭 스키너, 지그문트 프로이트, 칼 구스타프 융, 존 카밧진, 에리히 프롬, 대니얼 커너먼 등 이 분야에서 세계적인 명성과 평판을 가진 저자를 엄선해, 한 권당 5분 정도면 읽을 수 있도록 핵심 내용만 쉽게 풀어서 담은 책이다.

목차

제1부 인지행동 심리학
1. 《심리학의 원리》
― ‘의식의 흐름’을 주장한 근대 심리학의 기본서
2. 《모든 것을 기억하는 남자》
― 한 번 들은 것을 모두 기억할 수 있다면 행복할까?
3. 《자유와 존엄을 넘어서》
― 새로운 행동주의 선언
4. 《디자인과 인간 심리》
― 디자인은 어떻게 인간의 행동을 유도하는가?
5. 《낙관성 학습》
― 무기력을 학습한다는 것
6. 《왜 마음챙김 명상인가?》
―나 자신으로 살아가기 위한 마인드풀니스
7. 《뇌는 어떻게 세상을 보는가?》
― 멋대로 보고 느끼는 뇌
8. 《데카르트의 오류》
― 몸은 하드웨어, 정신은 소프트웨어라는 말은 진실인가?
9. 《인간의 의사소통 기원》
―인간은 무엇을 위해 의사소통하는가?

제2부 발달심리학
10. 《지능의 발달과 평가》
― 전체 사고 능력을 파악하는 지능검사의 시작
11. 《정신분석학 입문》
― 심리학에 정신분석을 연결하다
12. 《심리 유형》
― 인간의 유형을 제시하다
13. 《교육심리학 강의》
― 심리학이 말하는 ‘좋은 교육’이란
14. 《카운슬링의 이론과 실제》
― ‘치료해야 할 환자’가 아니라 ‘상담이 필요한 의뢰인’
15. 《정체성과 생활주기》
― 인간의 아이덴티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16. 《침묵에서 말하기로》
― ‘단절의 윤리’에서 ‘포용하는 윤리’로
17. 《의미의 복권》
― 이야기를 통해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우리
18. 《대화적 자아》
― 나는 언제나 변함없는 나일까?

제3부 사회심리학
19. 《자유로부터의 도피》
― 인간은 왜 힘들게 거머쥔 자유를 스스로 포기하는가?
20. 《죽음의 수용소에서》
― 죽음의 문턱에서 ‘나만이 할 수 있는 일’을 묻다
21. 《사회과학에서의 장이론》
― 목표로부터 한 번 멀어지기의 중요성
22. 《동기와 성격》
― 인간의 본성과 가능성을 새롭게 비추는 ‘인본주의 심리학’
23. 《예언이 끝났을 때》
― 세상을 매료한‘인지부조화 이론’
24. 《권위에 대한 복종》
― 평범한 얼굴을 한 악에 대하여
25. 《설득의 심리학》
― 잘 속는 심리학자의 제안
26.《스트레스와 감정의 심리학》
― 스트레스를 주관적 영역으로 가져온 최초의 연구
27. 《마시멜로 테스트》
― 마시멜로 테스트의 진짜 의미

제4부 심리학의 새로운 방향
28. 《목격자 증언》
― 기억은 어디까지 믿을 수 있을까?
29. 《새로운 문화심리학 구축》
― 한 사람이 선택하고 만들어내는 저마다의 문화
30. 《생각에 관한 생각》
― 빠른 생각과 느린 생각의 균형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