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331.5
도서 리아의 나라
  • ㆍ저자사항 앤 패디먼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반비, 2022
  • ㆍ형태사항 559p.; 21cm
  • ㆍ일반노트 원저자명: Anne Fadiman
  • ㆍISBN 9791192107929
  • ㆍ주제어/키워드 리아 나라 문화 경계 아이 기록
  • ㆍ소장기관 강화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KM0000070582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강화]종합자료실
331.5-패28리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
예약 예약불가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KM0000070582 [강화]종합자료실
331.5-패28리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열일곱 번의 입원과 세 번의 굿, 리아에게는 무엇이 필요했을까? 난민과 국민, 치료와 치유,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문화 간 만남의 가능성을 묻다 앤 패디먼은 탁월한 이야기꾼이다. 처음에 그는 캘리포니아의 한 병원을 무대로 뇌전증을 앓는 어린 소녀와 영어를 못하는 부모, 그리고 이들에게 약 먹이는 법을 가르치려고 애쓰는 미국 의사들을 보여준다. 이어 이 가족이 어쩌다가 미국에 왔는지, 그들이 왜 의사의 말을 듣지 않는지를 설명하며 라오스의 고원지대, 난민캠프, 캘리포니아의 몽족 공동체를 차례로 조명한다. 동시에 전쟁, 인종차별, 문화 간 갈등, 현대의학과 타자의 문제로 주제를 확장한다. 좋은 책이 갖추어야 할 미덕을 모두 갖춘 책이다.-김현경(인류학자, 『사람, 장소, 환대』의 저자) 미국 의료 체제와 몽족 치유 주술 간의 폭력적인 왕복 운동 사이에 끼인 몽족 난민 아동 리아. ‘비문명적’ 존재로 낙인화되어 언어와 대표성을 박탈당한 난민은 어떻게 자신과 가족의 신체 결정권을 가질 수 있을까? 저자는 권력의 비대칭성이 수반되는 문화 간 만남에서 고통받는 리아를 통해 새로운 세계를 열어가자고 호소한다. 그곳은 문화, 정체성과 질병이 배제와 혐오의 근거로 활용되지 않는 ‘공동의 세계’다.-김현미(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이 책은 사이에 문화의 높다란 장벽이 있어 소통할 방법을 모르던 부모와 의사가 서로 다른 방식으로 한 아이를 소중하게 여길 때 발생하는 비극을 그린다.-김준혁(의료윤리학자, 『우리 다시 건강해지려면』의 저자)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