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677.25
도서 더블 베이스 : 저음 의 역사와 이해
  • ㆍ저자사항 남두영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모노폴리, 2022
  • ㆍ형태사항 452p.: 천연색삽화, 도표; 24cm
  • ㆍISBN 9788991952706
  • ㆍ주제어/키워드 더블 베이스 저음 현악기 역사 이해
  • ㆍ소장기관 강화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KM0000068861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강화]종합자료실
677.25-남26더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
예약 예약불가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KM0000068861 [강화]종합자료실
677.25-남26더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더블 베이스는 20세기 중반에 이르러 지금의 모습으로 완성되었지만 아직도 표준 악기가 정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혼란은, 더블 베이스의 조상은 비올로네 또는 더블 베이스는 현대 오케스트라에 남은 비올족 악기라는 주장까지 만들어내고 있다.더블 베이스가 지금의 모습으로 자리 잡기까지 진행된...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더블 베이스 - 남두영 지음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악기에 대한 이해를 최대한 평이한 언어로 풀어내었다. 악기의 이름부터 재료와 각 부분에 대한 설명들은 악기론의 기본적인 원리들을 통해 알아보고 더블 베이스와 연관된 여러 이야기들을 함께 다루고 있다.

목차

서문
들어가기에 앞서

1부/ 현대 더블 베이스의 이해

1장/ 더블 베이스와의 만남
더블 베이스와 콘트라베이스는 다른 악기인가?
더블 베이스와 콘트라베이스는 어떤 의미인가?
그렇다면 어떤 이름으로 불러야 할까?
더블 베이스는 무엇을 하는가?
왜 저음악기들은 크기가 커야 할까?
그렇다면 얼마나 커야 할까?
파이프오르간과 다른 저음악기의 이해
바이올린족 현악기 크기의 문제점
더블 베이스의 기본 구조
더블 베이스의 사이즈
악기 몸통 스타일의 종류

2장/ 악기의 세부 이해 / 061
나무에 관하여 / 061
악기 향판으로 쓰이는 나무의 조건
악기 나무 종류에 관한 간단한 설명
스프루스
메이플
플라이우드(Plywood 합판)
흑단
악기 각 부분의 이름
악기 구조의 이해
앞판(Top)
뒤판(Back)
옆판
어깨(Shoulder)
지판(Fingerboard)
브리지
테일피스(Tailpiece)
엔드핀(Endpin)
스크롤(Scroll)
네크(Neck)
f홀(f-hole)
줄감개, 펙(Peg)
5현 베이스
C익스텐션(C-Extension)
퍼플링(Puffling)
바니쉬(Varnish)
악기 내부에 있는 부분들
사운드포스트(Soundpost)
베이스바(Bassbar)
악기 내부의 기둥들
아교(Glue)
현(Strings)
거트현의 장단점
거트현 사용 후기

3장/ 활 이야기
현대 활의 구조
밸런스와 캠버
활털과 송진
활대의 재료
독일식과 프랑스식 활
독일식 활, 저먼 보우(German bow)라는 이름의 유래
베이스 활의 역사
바로크 활과 이전 시대의 활
바로크 후기/고전주의 전기 시대의 보우
슈페르거 보우
드라고네티 보우
활의 명기들
프랑스의 활 명장들
프레치너 가문에 대하여

4장/ 더블 베이스 이야기
올드(Old) 악기
오래 연주한 악기는 소리가 좋다
가짜 악기 In Dubio Contra Reum / In Dubio pro reo
악기의 소리 성향 : 프로젝션/캐링 파워(Projection/ Carrying Power)
울프톤(Wolf Tone)
악기의 구입과 관리에 대하여
중저가 학생용 악기의 구입에 관하여
도상학(Iconography)
악기의 기하학

2부_ 더블 베이스의 역사

1장/ 들어가는 말
더블 베이스 역사 요약
17세기 티롤 지방의 산속에서
더블 베이스의 조상은 비올로네인가?
더블 베이스를 보는 역사적 관점
저음 현악기의 특징
대형 저음 현악기의 기술적 전제 조건

2장/ 현의 역사
무겁기만 해서는 안 된다. 유연성의 문제
범선과 밧줄: 닻을 올리는 과정
거트현(Gut strings)
현의 혁명: 금속 외피를 감은 현의 등장

3장/ 활 사용의 시작
쿠탈 벽화
라밥(Rabā)
중세 비올(Medieval Viol)
감바 스타일 악기의 확산
중세 음향학 실험장치 : 모노코드(Monochord)
트롬바 마리나(Tromba marina)

4장/ 초기 악기론 관련 서적들
초기 악기론 관련 문헌 속의 베이스 악기
비르둥의 <독일어로 쓰여진 음악서(Musica getutscht)>
아그리콜라의 <독일 악기론(Musica instrumentalis deudsch)>
프레토리우스의 <음악대전(Syntagma Musicum)>
비올라 다 감바와 바이올린 패밀리 악기에 관한 설명들
<음악대전>의 그림 자료 ‘시아그라피아(Sciagraphia)’의 해설
메르센의 <우주의 조화(Harmonie universelle)

5장/ 비올라 다 감바
비올의 제작
비올의 쇠퇴

6장/ 비올로네
G비올로네
D비올로네
바흐의 비올로네

7장/ 베이스 바이올린

8장/ 초기 더블 베이스의 등장
오케스트라의 탄생

9장/ 비엔나 베이스
비엔나식 튜닝
레오폴트 모차르트의 바이올린 교본
비엔나 베이스의 연주
요제프 하이든과 비엔나 베이스
하이든의 잃어버린 더블 베이스 협주곡
모차르트의 베이스 솔로
비엔나 베이스의 다른 작품들
비엔나 베이스의 음악가들
비엔나 베이스의 퇴장

10장/ 3현 베이스와 4현 베이스
3현 베이스
4현 베이스
19세기 프랑스의 변화
옥토 베이스(Octobass)

11장/ 더블 베이스의 선구자들
도메니코 드라고네티(Domenico Dragonetti)
드라고네티 A장조 협주곡에 관하여
조반니 보테시니(Giovanni Bottesini)
세르게이 쿠세비츠키(Serge Alexandrovich Koussevitzky)
한국 더블 베이스의 기원 김흥교 선생님의 발자취를 따르며…
프라하 학파

12장/ 더블 베이스 연주 형식의 정립
더블 베이스 레퍼토리
편곡 작품에 대하여
20세기 이후의 베이스 레퍼토리
재즈 베이스
일렉트릭 베이스 기타

결론
부록 1. 악기 제작 과정
부록 2. 더블 베이스 관련 프라이머리 소스 목록
부록 3. 원전 강독. 니콜라이 ‘더블 베이스 연주에 관하여’
참고문헌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