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811.61099
도서 윤동주 평전
  • ㆍ저자사항 송우혜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서정시학, 2014
  • ㆍ형태사항 567p.: 삽화, 초상; 23cm
  • ㆍ일반노트 피전자: 윤동주 한자표제: 尹東柱 評傳
  • ㆍISBN 9788998845490
  • ㆍ주제어/키워드 윤동주 평전 한국시인 한국인물
  • ㆍ소장기관 지혜의 숲 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FA0000005751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지혜]종합자료실
811.61099-송66윤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
예약 예약불가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FA0000005751 [지혜]종합자료실
811.61099-송66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송우혜가 되살려낸 윤동주의 순결한 초상 『윤동주 평전』. 다양한 주변 인물들과 함께 살아간 다채로운 삶의 자취, 북간도의 역사와 당시의 시대상황, 일경의 극비취조문서, 일본 경도재판소의 판결문 등을 비롯한 각종 자료들에 대한 예리하고 집요한 추적과 분석을 통해 민족시인 윤동주의 삶과 시를 정리한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윤동주 평전 - 송우혜 지음
다양했던 주변인물들과 함께 살아간 다채로운 삶의 자취, 북간도의 역사와 당시의 시대상황, 일경의 극비취조문서, 일본 경도재판소의 판결문 등을 비롯한 각종 자료들에 대한 예리하고 집요한 추적과 분석을 통해서 황홀하게 떠오른 민족시인 윤동주의 삶과 시.

목차

제3차 개정판 머리말 / 5

제1장 시인의 출생

제1차 세계대전 중에 태어난 아기 ……… 19
윤동주의 가계 ……… 25

제2장 지사들의 마을 명동

1899년에 세워진 조선인 마을 ……… 35
명동 문화의 특성 ……… 41
명동마을, 신학문과 기독교를 받아들이다 ……… 49
명동의 기독교 문화 ……… 56
윤동주의 명동소학교 시절 ……… 64
명동에 공산주의가 만연하다 ……… 78

제3장 해란강의 심장 용정

거친 세월 거친 꿈 ……… 95
은진중학교 시절 ……… 106

제4장 송몽규 이야기

신춘문예 당선작 '술가락' ……… 119
그의 출생과 성장 ……… 123
중국 낙양군관학교 시절 ……… 130
라사행 목사의 낙양군관학교 관계 증언 ……… 137
체포, 수감, 요시찰인 명부에 오르다 ……… 146

제5장 평양에서 보낸 7개월

숭실중학교의 편입시험 ……… 155
<정지용 시집> 출간 이전과 이후의 세월 ……… 166

제6장 다시 용정으로 돌아오다

광명학원 중학부(光明學院 中學部) ……… 195
시를 짓는 입시 준비생 ……… 204

제7장 젊음의 정거장, 서울 연희전문학교

태극무늬 널린 연전 캠퍼스 ……… 217
연전 1학년─화려한 귀향 ……… 225
연전 2학년─시 공부와 정지용 ……… 239
연전 3학년─신앙의 회의기, 정병욱과의 만남 ……… 256
연전 4학년─&'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 273
'참회록(懺悔錄)'의 계절 ……… 304

제8장 6첩방의 고장, 일본

동경(東京) 입교대학(入敎大學)에 입학하다 ……… 319
양원태자 님이 발굴한 입교대학 시절 비화 ……… 336
동경에서 만난 여성, 박춘혜 ……… 349
경도(京都) 동지사대학(同志社大學)으로 전학 ……… 356

제9장 체포, 재판, 복역, 옥사

체포―사상범으로 피체 ……… 369
고희욱(高熙旭)의 증언 ……… 374
고희욱의 피체 ……… 379
빠삐용처럼 살았던 검사국 감옥의 독방 ……… 381
일본 ‘특고경찰’의 기록 ……… 385
‘송몽규 자수설’은 사실인가 ……… 393
재판―경도지방재판소의 ‘판결문’들 ……… 401
선고형량에 대한 고찰 ……… 413
복역―복강(福岡)형무소 ……… 423
옥사(獄死)―아, 1945년 2월 16일! ……… 429

제10장 시인윤동주지묘詩人尹東柱之墓

윤동주 유해의 귀향 ……… 443
송몽규의 옥사 ……… 451
송몽규의 무덤은 이렇게 찾았다 ……… 455

제11장 민족시인의 영광

동(冬) 섣달의 꽃 ……… 463
정지용(鄭芝溶)은 윤동주를 이렇게 세상에 소개했다 ……… 468
강처중(姜處重)은 누구인가 ……… 481

▣부록▣

Ⅰ. <윤동주 평전>에 담긴 뒷이야기 ……… 505
Ⅱ. <윤동주 평전> 초간본 머리말 ……… 519
Ⅲ. <윤동주 평전> 제1차 개정판 머리말 ……… 523
Ⅳ. <윤동주 평전> 제2차 개정판 머리말 ……… 527

연보 ……… 537
찾아보기 ……… 557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