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609.11
도서 1945년 이후 현대 = Moving reflection, Korean art since 1945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FA0000004413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지혜]종합자료실
609.11-김64천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
예약 예약불가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FA0000004413 [지혜]종합자료실
609.11-김64천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1945년부터 2010년대까지 한국 현대미술사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개설서1945년부터 2010년대까지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을 정리하고 정치사회의 변천과 미적 가치의 양면에서 설명한다. 한국의 현대미술은 미술 내적 논리에 따라 형성되었다기보다는 시대상황의 변화에 깊이 영향을 받았다. 이 책은 한국전쟁과...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1945년 이후 한국 현대미술 - 김영나 지음
1945년부터 2010년대까지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을 정리하고 정치사회의 변천과 미적 가치의 양면에서 설명한다. 현대사의 격동 속에 그 역사의 기억을 갖가지 주제나 징후로 드러내는 한국 현대미술의 특징을 세심히 짚어낸다.

목차

서론

I. 해방 이후 한국미술 : 1945-1957
[1]ᅠ 새로운 시작 ᅠ
1. 해방 이후의 미술계 
2. 한국전쟁과 미술
[2]ᅠ 미술계의 재편과 변화 ᅠ
1. 서양화단의 활동 
2. 동양화단의 변화
3. 조각의 새로운 움직임 
4. 건축, 공예와 사진
[3]ᅠ전시와 국제 교류 ᅠ

II. 모더니즘 미술과 국가 주도 미술 : 1957-1975
[1]ᅠ 추상미술의 확산 ᅠ
1. 앵포르멜 미술 
2. 중견 미술가들의 독자적 모색
3. 현대조각의 추상 실험 
4. 국전 개혁의 시도
[2]ᅠ 다양한 미술에의 도전 ᅠ
1. 매체의 확산 
2. 건축, 공예와 사진
[3]ᅠ 국가 주도의 미술 ᅠ
1. 공공조각 
2. 민족기록화
[4]ᅠ 전시와 국제 교류 ᅠ

III. 한국미술의 정체성 찾기 : 1975-1990
[1]ᅠ 단색화와 민중미술 ᅠ
1. 단색화 
2. 민중미술
[2]ᅠ 동양화에서 한국화로 ᅠ
[3]ᅠ 포스트모더니즘과 이미지의 복귀 ᅠ
1. 포스트모더니즘 논의와 서술적 이미지 
2. 백남준과 미디어 아트
[4]ᅠ 공예, 공공미술과 건축 ᅠ
[5]ᅠ 전시와 국제 교류 ᅠ

IV. 새로운 문화 환경과 글로벌리즘 : 1990년 이후
[1]ᅠ 글로벌 세대 ᅠ
1. 기억과 시간 
2. 동시대를 바라보다 
3. 유목민적인 문화 이동
4. 유토피아의 꿈 
5. 뉴미디어 시대의 텍스트
[2]ᅠ 공공미술과 건축 ᅠ
[3]ᅠ 전시와 국제 교류 ᅠ

V. 북한의 미술
[1]ᅠ 해방 이후의 북한미술 ᅠ
[2]ᅠ 1966년 이후 주체미술과 조선화 ᅠ
[3]ᅠ 집체화와 집체조각 ᅠ
[4]ᅠ 1990년대 이후 ᅠ

주석 ᅠ     
참고 문헌 ᅠ    
도판 목록 ᅠ
인명 색인 ᅠ   
책을 마치면서 ᅠ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