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712
도서 아라리의 기원을 찾아서 : 불교 구음 라라리와 라리련의 한국적 승 양상
  • ㆍ저자사항 전경욱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 ㆍ형태사항 272 p.: 삽화; 23 cm
  • ㆍISBN 9788976419590
  • ㆍ주제어/키워드 어의 불교 고전문학론
  • ㆍ소장기관 강화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KM0000065806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강화]청소년열람실
712-전14아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
예약 예약불가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KM0000065806 [강화]청소년열람실
712-전14아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아라리’와 관련되는 ‘라라리’, ‘라리련’ 구음은 집시와 같은 유랑예인집단 또는 불교 승려들이 세계 여러 나라에 퍼뜨렸던 것으로 보인다. 한국, 중국, 일본의 불교 선승들은 수백 년 동안 그들의 선시에서 ‘라라리’를 즐겨 노래했다. ‘아라리’ 관련 구음들이 여러 지역으로 유포된 배경에는...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아라리의 기원을 찾아서 - 전경욱 지음
전경욱 교수의 <아라리의 기원을 찾아서>. '라라리'와 '라리련'에 대한 고찰을 통해 구음 연구라는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했을 뿐만 아니라, 한국문학 예술사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들을 규명했다.

목차

서론

1장. 중국의 ‘라라리(囉囉哩)’・‘라리련(囉哩嗹)’ 구음의 존재 양상
1. 불교 승려들이 노래한 ‘라라리(囉囉哩)’
2. 연극 등 문학예술 속에 나오는 ‘라라리(囉囉哩)’와 ‘라리련 (囉哩嗹)’

2장. 일본의 ‘라라리(囉囉哩)’・‘라리련(囉哩嗹)’ 구음의 존재 양상
1. 불교 승려들이 노래한 ‘라라리(囉囉哩)’
2. 연극 등 문학예술 속에 나오는 ‘라라리(囉囉哩)’와 ‘라리련 (囉哩嗹)’

3장. 한국의 ‘라라리(囉囉哩)’・‘라리련(囉哩嗹)’ 구음의 존재 양상
1. 고려・조선시대 불교 서적에서 발견되는 ‘라라리(囉囉哩)’
2. 고려・조선시대 불교 승려들이 노래한 ‘라라리(囉囉哩)’
3. 고려・조선시대 문인들이 노래한 ‘라라리(囉囉哩)’와 ‘라리련(囉哩嗹)’
4. 고려속요에서 노래한 ‘라라리(囉囉哩)’와 ‘라리련(囉哩嗹)’
5. 조선시대 언해본과 소설에서 발견되는 ‘라라리(囉囉哩)’ 와 ‘라리련(囉哩嗹)’
6. 민요에서 노래하는 ‘라라리(囉囉哩)’
7. 꼭두각시놀이에서 노래하는 ‘라라리(囉囉哩)’

4장. 고려속요의 구음과 ‘라라리(囉囉哩)’・‘라리련(囉哩嗹)’의 관련 양상
1. 머리말
2. 불교적 구음으로서의 ‘라라리(囉囉哩)’, ‘라리련(囉哩嗹)’
3. 고려속요의 구음과 ‘라라리(囉囉哩)’, ‘라리련(囉哩嗹)’
4. 고려속요의 구음과 ‘라라리(囉囉哩)’, ‘라리련(囉哩嗹)’의 변이형
5. 소결

5장. 동아시아 전통 인형극 구음의 보편성과 한국적 독자성
1. 머리말 145
2. 중국 인형극 구음의 전승 양상 및 그 성격과 기능
1) 천주(泉州) 괴뢰희의 ‘대출소(大出蘇)’
2) 보선(莆仙) 괴뢰희의 ‘희붕 밟기(踏棚)’
3) 보전(莆田)・선유(仙遊)의 〈목련희(目連戲)〉
3. 한국 인형극 구음의 전승 양상 및 그 성격과 기능
4. 일본 인형극 구음의 전승 양상 및 그 성격과 기능
5. ‘라라리(囉囉哩)’, ‘라리련(囉哩嗹)’ 관련 구음의 동아시아적 보편성의 배경
6. 소결

6장. ‘아라리’ 구음의 보편성과 한국적 독자성
1. 머리말
2. 한국의 ‘아라리’ 관련 구음 사례
3. 외국의 ‘아라리’ 관련 구음 사례
(1) 중국의 사례
(2) 일본의 사례
(3) 조지아(그루지야)와 아르메니아의 사례
(4) 터키의 사례
4. ‘아라리’ 관련 구음의 유래
5. ‘아라리’ 관련 구음의 세계성과 한국적 독자성

결론 ‘라라리(囉囉哩)’와 ‘라리련(囉哩嗹)’ 구음의 의의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