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340.911
도서 24시간 시의 탄생 : 1980의 시간정치
  • ㆍ저자사항 김학선 지음
  • ㆍ발행사항 파주: 창비, 2020
  • ㆍ형태사항 313 p.: 삽화, 도표; 23 cm
  • ㆍISBN 9788936486525
  • ㆍ주제어/키워드 24시간 1980년대 시간정치 한국정치
  • ㆍ소장기관 강화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KM0000064861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강화]종합자료실
340.911-김91이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
예약 예약불가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KM0000064861 [강화]종합자료실
340.911-김91이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1980년대 생활문화 속 자율과 통제의 시간정치 모두가 자기개발의 주체가 되는 신자유주의의 서막1980년대의 시간정치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사회에서 시간이 사회발전과 자기개발을 위한 대상이 되는 과정, 즉 신자유주의적 시간의 기원을 탐색하는 책 『24시간 시대의 탄생』이 출간되었다. 저자 김학선은...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24시간 시대의 탄생 - 김학선 지음
1980년대의 시간정치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사회에서 시간이 사회발전과 자기개발을 위한 대상이 되는 과정, 즉 신자유주의적 시간의 기원을 탐색하는 책이다. 저자 김학선은 1980년대에 하루 24시간이 정치적·경제적·문화적 자원으로 적극 개발되고 활용되는 점에 주목한다.

목차

제1부 1980년대 시간성의 충돌

1. 근대적 시간체제의 도입과 형성
근대적 시계시간의 특징
근대적 시간기획의 주요 주체
시간규율, 시간자원, 시간주권
대한민국과 근대적 시간체제
2. 1980년대 사회적 시간의 비동시성
1980년대 사회의 불일치
1980년대 다양한 시간성

제2부 해제와 통제의 시간정치

3. 낮과 밤의 경계가 없어지다
야간통행금지제도의 역사
야간통금의 위헌성과 자의성
서울올림픽과 야간통금 해제
정상화의 주체: 제5공화국과 전두환
제5공화국의 ‘자율’: 자발적 발전주체의 윤리
노동과 경쟁의 자유: 시간 부족감과 시간 압박감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와 분화
새로운 성과주체, 1980년대 중산층
24시간 경제 시대의 개막과 그 파행성
4. 군사주의와 국가주의에 동원된 일상시간
군·관·민이 하나 된 등화관제 훈련
교련복, 군복, 예비군복
국가에서 배급하는 애국의 시간
강제된 ‘자율’의 이중성과 모순성
균열의 가속화: 국제적 시선과 민주화로의 이행

제3부 국민의 일상시간, 자원으로 개발되다

5. 국민의 시간자원 개발
‘국민생활시간조사’와 시간자원 담론
1980년대 국가정책과 국민생활시간의 변화
국민생활시간, 국가경쟁력의 지표
6. 또 하나의 국민 시계, 텔레비전
신군부 정권의 텔레비전 편성정책: 국익과 건전 풍토 조성
‘TV과외’: 새로운 방송시간대의 개척
컬러방송: 텔레비전 매개성의 강화
아침방송: 일상시간의 재구조화
1980년대 텔레비전 뉴스: 규칙성과 현실구성성
프로야구 중계방송: 주기성과 결집성
TV 전성시대: 생활시간과 리듬의 동시화
7. 모든 길은 텔레비전으로 통한다
텔레비전 이벤트의 시대
KBS 시청료 거부운동: 시청료 대 수신료
TV 시청과 국민의 알 권리

제4부 시간을 둘러싼 국가와 국민의 경합

8. 세계시간 속의 대한민국
국제표준시와 일광절약시간제: 통치자의 독점권
1980년대 서머타임제
길어진 낮, 길어진 노동
서머타임 피로
여가활동의 변화: TV 집중화의 심화
시간주권 의식의 성장
9. 국가의 공식시간과 국민의 생활시간
국경일과 법정공휴일: 근대적 국민국가의 명절
양력일원제 대 음·양력 이원제
법정공휴일 제도 밖의 전통 명절
1980년대 명절: 민속공동체로서의 국민 호명
1980년대 법정공휴일의 시간정치
10. 국가의 기억과 기념의 시간정치
1980년대 법정기념일
재호명된 기념 대상: 교원, 군인, 학생
새로운 국가 기억과 기념 주체: 학생, 노동자, 대한민국 임시정부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