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911.03
도서 조선 상고
  • ㆍ저자사항 신채호 원저 ;
  • ㆍ발행사항 서울 : 비봉출판사, 2014
  • ㆍ형태사항 596 p. ; 23 cm
  • ㆍ일반노트 권말부록: "가신 님 丹齋(단재)의 靈前(영전)에" ; "내가 만나본 단재 신채호" ;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 연보" 수록
  • ㆍISBN 9788937603488
  • ㆍ주제어/키워드 조선상고사 한국고대사 역사가 단재
  • ㆍ소장기관 내가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NM0000007825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내가]문헌정보실
911.03-신82조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
예약 예약불가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NM0000007825 [내가]문헌정보실
911.03-신82조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단재 신채호의 대표적 저술 <조선상고사>를 현대인이 읽을 수 있도록 구성한 책. 고어체를 현대말로 바꾸고, 한문으로 되어 있는 인용문들을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쉬운 어휘를 사용하면서도 원저의 내용을 정확히 전달하고자 했으며, 상세한 주를 달았다. 또한 신채호와 한 시대를 살면서 옆에서 지켜본...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조선상고사 - 신채호 지음, 박기봉 옮김
20세기 조선의 최고 천재 사학자(史學者)이자 동시에 사상가이고, 혁명가이고, 문학가인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 선생의 대표적 저술인 를 현대인이 읽을 수 있도록 고어체(古語體)를 현대말로 바꾸고, 한문(漢文)으로 되어 있는 인용문(引用文)들을 우리말로 옮겼다.

목차

序 言 (권두언)
이 책은…

제 1편 총 론

1. 역사(史)의 정의와 조선역사의 범위
2. 역사의 삼대 원소(元素)와 조선 구사(舊史)의 결점
3. 구사(舊史)의 종류와 그 득실(得失)의 간략한 평가
4. 사료의 수집과 선택에 관한 참고
5. 역사서의 개조에 대한 소견(所見)

제 2편 수두 시대

제 1장 조선 고대 총론
1. 조선민족의 구별
2. 조선족의 동래(東來)
3. 조선족이 분포해 있었던「아리라」
4. 조선의 최초를 개척한 부여(扶餘)

제 2장 대단군(大壇君) 왕검(王儉)의 건국
1. 조선 최초의 일반 신앙인 단군
2. 대단군(大壇君) 왕검(王儉)이 창작한 신설(神說)
3. 신수두의 삼경(三京) 오부(五部) 제도

제 3장 수두의 홍포(弘布)와 문화의 발달
1. 부루(夫婁)의 서행(西行)
2. 기자(箕子)의 동래(東來)
3. 흉노(匈奴)의 휴도(休屠)
4. 한자(漢字)의 수입(輸入)과 이두문(吏讀文)의 창작
5. 신지(神誌)의 역사
6. 조선의 전성시대
7. 조선의 쇠약(衰弱)
8. 단군 연대(年代)의 고증(考證)

제 3편 삼조선(三朝鮮)의 분립 시대

제 1장 삼조선(三朝鮮) 총론
1. 삼조선(三朝鮮)이란 명칭의 유래
2. 삼조선(三朝鮮)의 위치와 범위
3. 기록상 삼조선(三朝鮮)의 구별 조건
4. 삼조선(三朝鮮) 분립의 시작

제 2장 삼조선(三朝鮮) 분립 후의「신朝鮮」
1. 신朝鮮의 서침(西侵)과 연(燕).조(趙).진(秦)의 장성(長城)
2. 창해역사(滄海力士)의 철추(鐵椎)와 진시황의 만리장성
3. 흉노 모돈(冒頓)의 동침(東侵)과 신조선의 위축

제 3장 삼조선(三朝鮮) 분립 후의「불朝鮮」
1.「불朝鮮」의 서북 변경 피탈(被奪)
2.「불朝鮮」의 진(秦).한(漢)과의 관계
3. 위만(衛滿)의 반란과「불朝鮮」의 남천(南遷)

제 4장 삼조선 분립 후의「말朝鮮」
1.「말朝鮮」의 천도와 마한(馬韓)으로의 국호 변경
2. 낙랑(樂浪)과 남삼한(南三韓)의 대치
3. 낙랑(樂浪) 25개국과 남삼한(南三韓) 70여국

제 5장 삼조선(三朝鮮) 붕괴의 원인과 결과
1. 삼신설(三神說)의 파탄
2. 열국(列國)의 분립

제 4편 열국 쟁웅(爭雄) 시대(대(對) 한족(漢族) 격전시대)

제 1장 열국(列國) 총론(總論)
1. 열국 연대(年代)의 정오(正誤)
2. 열국의 강역(疆域)

제 2장 열국의 분립
1. 동부여(東扶餘)의 분립
2. 고구려의 발흥(勃興)
3. 백제의 건국과 마한(馬韓)의 멸망

제 3장 한 무제(漢武帝)의 침입
1. 한나라 군대가 고구려에 패퇴한 사실(고구려의 9년 전쟁)
2. 한 무제, 위씨(衛氏)를 쳐서 멸망시킴(위씨조선의 멸망)
3. 한사군(漢四郡)의 위치와 고구려의 대(對) 한(漢) 관계

제 4장 계립령(鷄立嶺) 이남의 두 신국(新國)
1. 계립령(鷄立嶺) 이남의 별천지(別天地)
2. 가라 6국(國)의 건설
3. 신라(新羅)의 건국

제 5편(一) 고구려의 전성시대

제 1장 기원 1세기 초 고구려의 국력 발전과 그 원인
1. 대주류왕(大朱留王) 이후의 고구려
2. 고구려의 대(對) 중국 관계
3. 선비(鮮卑) 대(對) 고구려의 관계

제 2장 태조(太祖).차(次) 양 대왕의 문치(文治)
1. 태조(太祖).차(次) 양 대왕의 세계(世系)의 오류
2. 태조(太祖)대왕과 차대왕(次大王) 시대의「선배」제도
3. 태조대왕과 차대왕 시대의 제도

제 3장 태조(太祖).차(次) 양 대왕의 한족(漢族) 축출과 옛 강토 회복
1. 한(漢)의 국력과 동침(東侵)의 배경
2. 왕자 수성(遂成)의 요동 회복

제 4장 차대왕(次大王)의 왕위 찬탈
1. 태조(太祖)의 가정불화(家庭不和)1
2. 수성의 음모와 태조의 선위(禪位)

제 5장 차대왕의 피살과 명림답부의 전권(專權)
1. 차대왕의 20년 전제(專制)
2. 명림답부의 전권(專權)과 외정(外政)

제 6장 을파소(乙巴素)의 업적
1. 왕후의 정치 간여와 좌가려(左可慮)의 난(亂)
2. 을파소(乙巴素)의 등용

제 5편(二) 고구려의 중쇠(中衰)와 북부여의 멸망

제 1장 고구려의 대(對) 중국과의 전쟁에서의 패배
1. 발기(發岐)의 반란과 제1 환도 - 현 개평(蓋平)의 잔파
2. 동천왕의 제1 환도성 회복과 오(吳) ? 위(魏)와의 외교
3. 공손연(公孫淵)의 멸망과 고(高) ? 위(魏) 양국의 충돌
4. 관구검의 침입과 제2의 환도(지금의 안고성) 함락
5. 제2 환도성의 파괴 후 평양(平壤)으로의 천도

제 2장 고구려 대(對) 선비(鮮卑) 전쟁
1. 선비 모용씨(慕容氏)의 강성
2. 북부여의 파괴와 의려왕(依慮王)의 자살
3. 고구려의 예란(濊亂) 토평(討平)과 명장 달가(達賈)의 참사
4. 모용외(慕容?)의 패퇴와 봉상왕(烽上王)의 교만과 포학
5. 봉상왕의 폐출과 미천왕(美川王)의 즉위
6. 미천왕(美川王)의 요동(遼東) 전승과 선비(鮮卑) 몰아냄
7. 제3 환도 - 지금의 집안현 홍석정자산(紅石頂子山)의 함락

제 6편 고구려.백제 양국의 충돌

제 1장 고구려.백제 양국 관계의 유래
1. 남낙랑.동부여의 존망(存亡)과 고구려.백제 양국의 관계

제 2장 근구수왕(近仇首王)의 영무(英武)와 고구려의 퇴축(退縮)
(附: 백제의 해외 정벌)
1. 백제의「대방(帶方)」 병탄(倂呑)과 반걸양(半乞壤) 전쟁
2. 고국원왕의 전사와 백제의 재령(載寧) 천도
3. 근구수왕(近仇首王) 즉위 후의 해외경영

제 3장 광개태왕(廣開太王)의 북진정책과 선비 정복
1. 광개태왕의 북토(北討) 남정(南征)의 시작
2. 광개태왕(廣開太王)의 과려족(顆麗族) 원정
3. 광개태왕, 왜구(倭寇)를 몰아냄(附: 백제의 천도)
4. 광개태왕의「환도(丸都)」천도와 선비 정복

제 4장 장수태왕(長壽太王)의 남진정책과 백제의 천도
1. 장수태왕의 역대 정책의 변경
2. 위기승(圍碁僧)의 음모와 백제의 피폐
3. 고구려 군사의 침입과 근개루왕의 순국(殉國)

제 7편 남방 제국의 대(對) 고구려 공수동맹

제 1장 4국 연합군의 합전(合戰)과 고구려의 퇴각
1. 신라(新羅).백제(百濟) 양국의 관계와 비밀동맹의 성립
2. 신라.백제.임나(任那).아라(阿羅) 4국의 대 고구려동맹
3. 40년 계속된 4국 동맹/ 332

제 2장 백제의 위(魏) 침입 격퇴와 해외식민지 획득
1. 동성대왕 이후 다시 강성해진 백제
2. 장수태왕의 음모와 위병(魏兵)의 침입
3. 위병(魏兵)의 두 차례 침입과 두 번의 패배
4. 동성대왕의 해외 경략과 중도에 궂김

제 8편 삼국 혈전(血戰)의 시작

제 1장 신라의 발흥(勃興)
1. 진흥대왕의 화랑(花郞) 설치
2. 여섯 가라(加羅)의 멸망

제 2장 조령과 죽령 이북의 10개 군 쟁탈 문제
1. 무령왕(武寧王)의 북진(北進)과 궁지에 몰린 고구려
2. 안장왕(安藏王)의 연애(戀愛) 전쟁과 백제의 패퇴
3. 이사부(異斯夫).거칠부(居柒夫) 등의 집권과 신라(新羅).백제(百濟) 양국의 연맹
4. 신라의 10개 군(郡) 습취(襲取)와 신라.백제 동맹의 파열
5. 백제 성왕(聖王)의 전사(戰死)와 신라의 개척지 확대
6. 고구려의 대 신라 침략과 바보 온달(溫達)의 전사(戰死)

제 3장 동서전쟁
1. 백제 왕손 서동(薯童)과 신라 공주 선화(善花)의 결혼
2. 결혼 후 약 10년간의 양국 동맹
3. 동서전쟁: 김용춘의 총애 다툼과 무왕의 항전
4. 동서전쟁의 희생자

제 9편 고구려의 대(對) 수(隋) 전쟁

제 1장 임유관(臨?觀) 전쟁
1. 고(高).수(隋) 전쟁의 원인
2. 수 문제의 모욕적인 언사의 국서(國書)와 강이식(姜以式)의 북벌 주장
3. 임유관(臨?關) 전쟁

제 2장 살수(薩水) 전쟁
1. 고(高).수(隋) 제2차 전쟁의 원인과 동기
2. 수 양제(煬帝)의 침입과 그 전략
3. 고구려의 방어와 그 작전계획
4. 고구려군의 패강(浿江) 승전
5. 고구려군의 살수(薩水) 전승
6. 고구려의 오열홀(烏列忽) 대첩

제 3장 오열홀.회원진에서의 전쟁과 수(隋)의 멸망
1. 수 양제의 재침(再侵)과 오열홀 성주(城主)의 방어
2. 수 양제의 세 번째 침략과 노수(弩手)의 저격

제 10편 고구려의 대(對) 당(唐) 전쟁

제 1장 연개소문의 서유(西遊)와 그 혁명
1. 연개소문의 출생과 소년시절의 서유(西遊)
2. 연개소문 귀국 후의 내외 정황
3. 연개소문의 혁명과 대도살(大屠殺)
4. 연개소문의 대당(對唐) 정책

제 2장 요수(遼水) 전쟁

제 3장 안시성(安市城) 전투
1. 안시성 전투 전 피차간의 교섭과 충돌
2. 당 태종의 전략과 침입 노선(路線)
3. 연개소문의 방어 및 진공(進攻) 전략
4. 상곡(上谷)의 횃불과 당 태종의 패주(敗走)
5. 화살 독으로 인한 당 태종의 사망과 연개소문의 당 정벌
6. 연개소문의 사적(事蹟)에 관한 거짓 기록들
7. 연개소문의 사망 연도에 관한 착오 10년
8. 연개소문의 공적(功績)에 대한 간략한 평가

제 11편 백제의 강성과 신라의 음모

제 1장 부여성충의 뛰어난 전략과 백제의 영토 개척
1. 부여성충(扶餘成忠)이 계책(計策)을 건의함
2. 대야성(大耶城)의 함락과 김품석(金品釋)의 참사
3. 고구려(高).백제(百) 동맹의 성립
4. 안시성(安市城) 전투 때의 성충(成忠)의 건의

제 2장 김춘추(金春秋)의 외교와 김유신의 음모
1. 김춘추의 복수(復讐) 운동
2. 김유신의 등용(登用)
3. 거짓이 많은 김유신의 전공(戰功)
4. 김유신 특장(特長)의 음모(陰謀)

제 3장 부여성충(扶餘成忠)의 자살
1. 금화(錦花)와 임자(任子)의 참소와 이간질
2. 성충의 자살과 그를 따르던 무리들의 축출

제 4장 신(新).당(唐) 양국군의 침입과 붙잡힌 백제 의자왕
1. 신라와 당의 연합 침입
2. 계백(階伯)과 의직(義直)의 전사
3. 의자왕의 포로됨과 백제의 두 서울 함락

제 5장 백제 의병의 봉기(群起)
1. 의자왕이 포로가 된 후 각지에서 일어난 의병
2. 패망한 중.남 양부 의병과 굳게 지킨 서부 의병
3. 싸울 때마다 대승한 부여복신

제 6장 고구려의 당병(唐兵) 격퇴, 백제 의병의 전성
1. 연개소문 사후 고구려의 내정(內政)
2. 평양의 당병(唐兵)과 웅진(熊津) 신라병의 대패

제 7장 부여복신의 죽음과 고구려의 내란
1. 적과 내통하다 붙잡혀서 참수당한 자진(自進)
2. 피살당한 부여복신
3. 복신 사후 풍왕의 망함

<부록 1>: 가신 님 丹齋(단재)의 靈前(영전)에 - 미망인
<부록 2>: 내가 만나본 단재 신채호
(신영우(申榮雨), 이광수(李光洙), 심 훈(沈熏),
정인보(鄭寅普), 원세훈(元世勳), 이극로(李克魯),
이윤재(李允宰), 변영만(卞榮晩), 신석우(申錫雨))
<부록 3>: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 연보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