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331
도서 학 : 한국적 학 이론을 위한 해석학적 오디세이
  • ㆍ저자사항 김덕영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길, 2016
  • ㆍ형태사항 556 p.: 도표; 23 cm
  • ㆍ일반노트 2017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임
  • ㆍISBN 9788964451359
  • ㆍ상세내용 서구에서 한국적 사회학 이론을 찾는다? 서구 이론 배척이 곧 한국 사회학의 왕도라 여기는 견해들에 반론을 제기한다. 콩트·스펜서에서 하버마스·루만까지 사회학이란 본래 무엇을 어떻게 연구하는 과학인가. 그리고 이제 우리는 어떤 사회학을 추구할 것인가. 사회학은 서구에서 발생하여 비서구로 퍼져나간 근대의 일부분, 다시 말해 문화적 근대이며, 이 문화적 근대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사회에 따라 나름대로의 선택, 규정, 해석이 나타날 수 있으며, 따라서 사회학의 다양한 ‘버전’이 나타날 수 있다.
  • ㆍ주제어/키워드 사회 사회학 사회연구 근대 문화 해석
  • ㆍ소장기관 강화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KM0000053934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강화]종합자료실
331-김223사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
예약 예약불가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KM0000053934 [강화]종합자료실
331-김223사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과 게오르그 짐멜의 『돈의 철학』을 비롯한 사회학 고전들을 꾸준히 번역해온 재야의 사회학자 김덕영이 한국에서 사회학이란 어떤 과학인가(/이어야 하는가)를 묻는 동시에 한국의 사회(과)학계에 일침을 놓는 책을 내놨다. 이번 책 『사회의 사회학...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사회의 사회학 - 김덕영 지음
한국에서 사회학이란 어떤 과학인가를 묻는 동시에 한국의 사회(과)학계에 일침을 놓는 책이다. 전작에서 '이론'에 근거하지 않은 기존 한국 근대화 담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했던 저자는 그렇다면 한국 (근대) 사회를 분석할 그 '이론'을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라는 질문을 던진다.

목차

이 책이 나오기까지
논의를 시작하면서

제1장 사회의 보편이론
1 실증주의적 사회학│오귀스트 콩트│
(1) 프랑스 대혁명과 콩트의 지적 세계: 사회의 재조직화를 위하여
(2) 실증철학과 사회학: 정신의 재조직화를 위하여
(3) 사회정학과 사회동학: 사회학은 사회적 질서와 진보의 법칙을 추구한다
(4) 개인, 가족, 사회

2 진화론적 사회학│허버트 스펜서│
(1) 종합철학과 사회학
(2) 사회는 진화하는 유기체이다
(3) 스펜서는 비교사회학의 선구자인가?
(4) 유기체론적 진화론자 스펜서는 자유주의적 개인주의자이다

3 유물론적 사회학│카를 마르크스│
(1) 헤겔, 포이어바흐, 애덤 스미스: 마르크스의 지적 배경
(2) 노동, 주체, 인간
(3) 근대 자본주의 사회의 경제적 해부학을 찾아서
(4) 행위, 구조, 법칙: 마르크스의 이론은 인류 사회의 보편이론이다

중간고찰
콩트, 스펜서, 마르크스는 사회학의 선구자일 뿐 창시자는 아니다

제2장 사회적인 것의 중범위이론 1
1 사회학적 칸트주의│에밀 뒤르케임│
(1) 콩트와 몽테스키외 그리고 칸트와 분트: 프랑스와 독일 지적 전통의 창조적 종합
(2) 뒤르케임은 사회학주의자이다?
(3) 도덕적 개인주의를 위하여
(4) 사회학적 방법의 규칙들

2 형식사회학│게오르그 짐멜│
(1) 사회는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해체된다
(2) 민족심리학, 자연과학 그리고 칸트 철학: 짐멜 사회학의 지적 배경
(3) 개인과 사회: 사회학의 근본 문제
(4) 철학과 경험과학의 관계

3 이해사회학│막스 베버│
(1) 반사회학자 베버: 사회에 대한 과학인 사회학은 ‘불임’이다
(2) 사회학자 베버: 사회학에는 사회가 없다
(3) 개인주의적-구조주의적 이해사회학을 찾아서
(4) 이해와 설명

제3장 사회적인 것의 보편이론 1
1 현상학적 사회학│알프레트 슈츠│
(1) “밤에는 현상학자, 낮에는 은행원”: 슈츠의 인간적-지적 삶
(2) 베르그송, 후설 그리고 베버: 철학과 사회학의 결합을 위하여
(3) 왜 사회학을 현상학적으로 정초하는가?
(4) 생활세계와 그 구조

2 구조기능론│탤컷 파슨스│
(1) 자원론적 행위이론: 기존의 사회과학적 조류의 종합을 위하여
(2) 자원론적 행위이론에서 체계론적 행위이론으로
(3) 사회적 체계로서의 사회
(4) 인간 조건의 패러다임

제4장 사회적인 것의 중범위이론 2
1 결합태사회학│노르베르트 엘리아스│
(1) 엘리아스의 개인적-지적 배경 및 그의 사회학의 형성 과정
(2) 콩트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파슨스에 대한 비판
(3) 개인과 사회의 이분법을 넘어서: 결합태와 과정
(4) 문명화 과정의 사회학: 심리발생적 및 사회발생적 접근 방법에 입각한 역사사회학

2 사회실천학│피에르 부르디외│
(1) 부르디외 사회학의 지적 배경
(2) 사회실천학: 주관주의와 객관주의를 넘어서
(3) 자본, 아비투스, 사회적 공간, 장, 계급: 사회적 실천의 장으로서의 사회
(4) 인류학적 사회학?: 이론과 경험의 결합

제5장 사회적인 것의 보편이론 2
1 의사소통행위이론│위르겐 하버마스│
(1) 하버마스와 비판이론 및 마르크스주의의 관계
(2) 『의사소통행위이론』: 한 편의 거대한 해석학적 오디세이
(3) 사회학의 언어론적 정초
(4) 두 단계 사회이론과 체계에 의한 생활세계의 식민지화

2 체계이론│니클라스 루만│
(1) 체계이론, 사회적 체계이론, 사회(체계)이론
(2) 방법론적 반인본주의: 주체 없는 사회학을 위하여
(3) 루만은 기존의 사회학 이론 및 철학적 전통에 작별을 고했다(?)
(4) 사회적 체계, 사회(체계) 그리고 세계사회

논의를 마치면서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