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911.05
도서 의 기원 : 고려 교체의 역사적 의미를 실증적으로 탐구한 역작
  • ㆍ저자사항 존 B. 던컨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너머북스, 2013
  • ㆍ형태사항 487 p.; 22 cm
  • ㆍ일반노트 원저자명: John B. Duncan
  • ㆍISBN 9788994606187
  • ㆍ주제어/키워드 조선왕조 고려말 한국사
  • ㆍ소장기관 강화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KM0000047997
낱권정보 c.2
자료실 /
청구기호
[강화]종합자료실
911.05-던823조=2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
예약 예약불가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KM0000047997 c.2 [강화]종합자료실
911.05-던823조=2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한국사의 최대 전환기였던 1392년의 '고려-조선왕조 교체', 그 역사적 의미는 무엇인가? 일제 식민사학자들의 주장처럼 역사적 중요성이 전혀 없는 단순한 궁중반란인가? 아니면 신흥 사대부가 고려의 구세력을 축출하고 새 시대를 연 일대의 사회혁명인가? 조선왕조가 그 이전의 과거에 깊은 뿌리를 두고 있는...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조선왕조의 기원 - 존 B. 던컨 지음, 김범 옮김
한국사의 최대 전환기였던 1392년의 고려-조선왕조 교체, 그 역사적 의미는 무엇인가? 조선왕조가 그 이전의 과거에 깊은 뿌리를 두고 있는 사회였음을 제목에서 암시하는 이 책의 주장은 무엇일까? 서구에서 한국 역사학을 이끄는 존 던컨 교수의 책이다.

목차

1장 고려의 정치제도

중앙 정치제도
왕권 | 중앙 관료 제도의 창출 | 무신 치하의 제도 개혁
지방행정 제도
지방의 사회·정치적 질서 | 중계적 지방 관서를 설치하려는 시도 | 군현의 통제
자원을 둘러싼 갈등
전시과 | 그 밖의 토지자원들
결론

2장 중앙 관료적 귀족의 흥기

고려 전기의 중앙 관원층
고려 전기의 주요 가문들 | 주요 가문의 기원 | 등용 제도와 사회적 지배층 | 중앙 관원의 경력 유형 | 요 가문의 융성
고려 후기의 주요 가문들
고려 후기의 중앙 관원층 | 등용 제도 | 경력의 유형 | 권문세족과 사대부 문제
중앙 가문의 경제적 기반
고려 전기 | 고려 후기
결론

3장 왕조 교체기의 양반

조선 개창기의 중앙 관원층
1392~1400년의 중앙 관원층 | 태종 초반(1401~1405)의 중앙 관원층 | 지파의 연합 | 등용 제도
양반 가문의 내부 구조
조선 전기 주요 가문의 세계 | 주요 가문의 혼인 관계
15세기 중반의 주요 양반 가문들
15세기 중반의 관원층 | 15세기 중반의 과거제도 | 주요 중앙 양반 가문
조선 전기 양반의 경제적 재원
결론

4장 고려 후기의 제도적 위기

권력투쟁
고려 후기 정치제도의 구조 | 원 간섭기의 정치권력 | 원 간섭기 이후의 정치권력 | 개혁의 시도
자원의 장악을 둘러싼 투쟁
외침 | 중앙 세력의 지방 수탈 | 재정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
신분제도를 유지하려는 투쟁
문제의 기원 | 신분제도를 유지하려는 노력
결론

5장 개혁과 왕조 교체

재정 개혁
과전법 | 자원을 창출하고 통제하려는 국가의 시도
신분제도의 재정립
지방행정의 개편 | 지배층의 감축
중앙 정치제도의 재편
정치 개혁: 첫 번째 국면, 1392~1400년 | 정치 개혁: 두 번째 국면, 1400~1405년
결론

6장 개혁의 이념

사상의 복잡성
고려 전기부터 중기의 사장과 고문 | 왕조 교체기의 고문과 정주학 | 조선 전기에 남은 당풍의 흔적
과거제도를 둘러싼 갈등
고려 후기의 과거 | 조선 전기의 과거 | 유교와 개혁
결론

7장 몇 가지의 최종적 고려 사항

연구 성과의 요약
해석과 비교의 결과들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